안철수 “정치권, 헌재 압박 말아야” 촛불집회 불참 선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안철수

안철수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가 9일 “헌법에 따라 탄핵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권이 헌법재판소를 압박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11일 열리는 촛불집회에 불참을 선언했다. 이번 주말 촛불집회에 대거 나서는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안희정 충남도지사 등 야권 대선주자들과 다른 행보다. 안 전 대표는 이날 공개 일정 후 입장문을 통해 “저는 일관되게 대통령 탄핵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인용돼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안 전 대표는 “촛불집회가 있는 11일에 생방송 출연이 오래전부터 계획돼 있어 참여하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문재인·안희정과 다른 행보
“헌재, 3월 13일 전 결론 믿어”

안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9일 국회 탄핵소추안 통과 이후 촛불집회에 참석하지 않고 있다. 안 전 대표 측 관계자는 “탄핵 가결 전에는 촛불집회에 참석했지만 가결 이후엔 광장은 시민에게 맡기고 정치인은 다른 역할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참석하지 않았다”며 “정치권이 헌재를 흔드는 인상을 주면 탄핵 조기 인용이라는 대의도 흔들릴 수 있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밤 JTBC에 출연해서도 “헌재도 3월 13일 이전에 판결을 내리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그렇다면 지켜보는 게 도리”라며 “반드시 3월 13일 이전에 인용될 것이라고 믿는다”고도 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서울 미림여자정보과학고에서 기자들을 만나 개성공단 재가동 문제와 관련, “유엔의 제재안 때문에 당장 재가동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며 “지금은 북한과 대화를 병행하면서 협상 테이블이 만들어지면 개성공단 폐쇄 문제를 종합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최근 외교·안보 이슈에 대해 중도·보수적 입장을 내놓고 있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에 대해서도 지난 8일 MBC에 출연해 “국가 간 협약은 다음 정부에서 뒤집을 수 없다”며 입장을 돌렸다. 안 전 대표는 지난해 7월엔 “국민투표에 부치자”며 배치에 반대했다. 안 전 대표는 진행자가 “입장을 바꾼 것 아니냐”고 지적하자 “미국 정부와의 협약 전과 후로 상황이 굉장히 다르다”며 “지금 시점에서는 중국이 대북제재에 동참해 실마리를 풀 때 미국에 사드 배치 철회를 건의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답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