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J카페] '맞벌이·식사 레저화' 일본 엥겔계수 29년만에 최고치

중앙일보

입력

도쿄 시나가와구에 있는 편의점 로손 매장. 매장 안에서 직접 조리한 도시락과 야채튀김을 판매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도쿄 시나가와구에 있는 편의점 로손 매장. 매장 안에서 직접 조리한 도시락과 야채튀김을 판매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일본의 엥겔계수가 29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맞벌이 부부 증가와 식품 가격 상승 등의 영향이다. 엥겔계수는 가계의 소비 지출 중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뜻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의 지난해 1~11월 월 평균 엥겔계수가 25.7%를 기록해 1987년 이후 2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총무성 가계조사(2인 이상 가구) 결과를 보도했다. 이 기간 월 평균 가계의 소비지출은 27만8888엔(약 285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한 데 비해, 식품 지출은 7만1603엔으로 1.8 % 증가했다. 연말에 식비 비중이 뛰는 점을 고려하면 2016년 연간 엥겔계수가 26%를 초과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신문은 내다봤다. 2015년 엥겔계수는 25.0%였다. 엥겔계수는 1990년대부터 2013년까지 20년 가까이 23%대를 이어왔지만, 2014년 들어 대폭 상승했다.

엥겔계수의 상승 이유는 식품 가격의 상승과 맞벌이 부부의 증가, 외식 등 조리 식품의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오가타 나오코 일본종합연구소 주임연구원은 "가구의 구성 인원이 줄고 식재료 가격 상승으로 집에서 조리하는 것이 비경제적인 일이 됐다"고 설명했다. 호시노 타쿠야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 부주임 이코노미스트도 "젊은 세대의 소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일상의 즐거움을 위해 외식을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음식의 '레저화'로 마루이그룹·세이부 등 유통업계도 조리된 식품의 매장을 확대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일본의 대형 편의점 로손도 매장에서 조리한 도시락을 판매하는 점포를 현재 약 3500개에서 2018년 2분기 5000개로 늘릴 계획이다. 신문은 “인구 감소 등으로 ‘국민의 밥통’ 크기는 줄고 있지만, 식생활의 변화와 지출 규모는 변화하고 있다. 새로운 사업 기회가 생겨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유경 기자 kim.yukyoung@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