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과 가까운 경기 지역 혼인율 ↑, 전세값 높아지면 혼인율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전세 가격이 오르내림에 따라 젊은층의 결혼 여부도 달라질까. 정답은 'YES'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 내 전세 가격이 높아질수록 25~29세 남녀의 혼인율은 떨어진다는 연구가 나왔다. 내 집 장만이 어려워질수록 결혼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다.

경기도는 28일 수원시에서 '경기도 인구정책 심포지엄'을 열고 미래 출산 예측에 따른 경기도 인구정책 방향 등을 제시했다.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이 자리서 경기도 31개 시ㆍ군의 인구ㆍ주택ㆍ경제ㆍ출산 관련 빅데이터 140만개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조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25~29세 남녀 혼인율은 전세 가격과 반비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아파트 전세 가격이 10% 감소하면 20대 대졸 남성의 혼인율은 9% 가량 올라갔다. 집 마련 부담이 적어질수록 결혼이 가까워지는 반면, 집 장만에 따른 부담이 커지면 혼인 기회는 줄어든다는 의미다.

서울과의 거리 역시 혼인에 영향을 미쳤다. 결혼 적령기인 30~34세 남성은 서울에 가까운 곳이나 분당ㆍ일산ㆍ평촌 등 '1기 신도시'에 살면 혼인율이 높게 나왔다. 출·퇴근 부담이 적고 거주지가 안정되면 결혼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경기도 내 지자체 대부분은 혼인율이 높을수록 출산율도 높게 나왔다. 결혼과 출산이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다. 경제 지표인 지역내총생산(GRDP), 취업률 등도 출산율과 비례했다. 특히 고용률이 10% 증가하면 비경제활동 여성의 출산율이 20%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출산 결심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 여겨지는 보육시설 수는 출산율과 큰 상관이 없었다.

조 교수는 이 가운데 혼인율이 높아지면 출산율이 함께 높아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혼인을 장려하기 위해선 주거 환경 개선이 가장 시급하다고 봤다.

그는 "분양 아파트와 같은 수준의 저렴한 거주지를 서울과의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에 공급해야 한다. 경기도가 진행중인 매입형 공공임대주택 사업 등을 확대해 주변 지역 전세가를 내리고 파급 효과가 미치는 지역도 늘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청년층의 취업률을 올리고 지역내총생산을 높이는 등 출산율 회복을 위한 경제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역내총생산이 2014년보다 10% 상승하고 아파트 전세가가 10% 감소하면 25~29세 대졸 남성의 혼인율은 17.5% 상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혼인율, 1인당 지역내총생산, 30~49세 취업률이 2014년보다 10%씩 높아지면 대졸 남녀의 출산율은 각각 9%, 11% 높아질 것으로 추정했다.

경기도도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인구 정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안동광 경기도 미래전략담당관은 "혼인과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 위주의 복지 정책보다는 혼인, 일자리, 부동산 등 경제 중심으로 정책 패러다임이 전환돼야 한다는 것이 입증됐다.

경기도는 내년 사업방향으로 고용률 높이기, 지역내총생산 제고, 혼인율 제고에 집중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2020년까지는 고용률 15% 상승, 지역내총생산 20% 증가, 혼인율 10% 상승 등을 바탕으로 출산율 1.5명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도 내놨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