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공부 못하는 남학생 급증…수학·과학도 여학생에게 뒤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한국 학생의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순위가 하락했다. PISA가 시작된 2000년 이후 읽기·수학·과학 세 영역 모두 참가국 중 3위 내에 들지 못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만 15세 대상 70개국 학력 평가
3년 전에 비해 1~6계단 떨어져
상위권 변동 적은데 하위권 급증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6일 발표한 PISA 2015 결과에 따르면 평가에 참여한 70개국 중 한국은 읽기 4~9위, 수학 6~9위, 과학 9~14위로 평가됐다. OECD 회원국(35개국) 중에서는 읽기 3~8위, 수학 1~4위, 과학 5~8위다. PISA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의무교육이 종료되는 만 15세를 대상으로 3년 주기로 실시된다. 오차범위 내에서 해당국의 최고·최저 순위를 범위로 나타낸다.

PISA 2012에 비해 한국은 영역에 따라 1~6계단 떨어졌다. 가장 큰 원인은 하위권 학생의 증가다. 최하 수준인 ‘1 수준’ 이하인 비율이 PISA 2012에 비해 읽기는 7.6%에서 13.6%, 수학은 9.1%에서 15.4%, 과학은 6.7%에서 14.4%로 늘었다. 상위권 비율은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하위권이 크게 늘면서 학업성취도의 양극화가 심해졌다.

남학생의 성적 부진도 순위 하락의 주요 원인이다.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수학·과학은 남학생 성적이 우수한 게 일반적이다. 이번 평가에서 한국 남학생의 수학·과학 성적은 큰 폭으로 떨어져 여학생보다 낮았다. OECD 국가 평균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은 8점, 과학은 4점 높다. 반면 한국은 남학생이 오히려 여학생에 비해 수학은 7점, 과학은 10점이 낮았다.

한국 학생의 과학에 대한 즐거움·흥미는 OECD 평균에 비해 낮았다. 평가와 함께한 설문 결과 ‘과학 공부에 흥미가 있나’라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한 비율이 한국 학생의 경우 53.7%에 그쳤다. OECD 평균(63.8%)보다 낮다.

‘과학에 관한 책을 읽는 것을 즐긴다’는 응답(43.4%)도 OECD 평균(51.8%)보다 낮았다. 시험 점수는 높은 편이지만 일상생활 속 과학에 대한 자신감은 떨어졌다. 예를 들어 ‘식품 겉면에 적힌 과학정보를 쉽게 해석할 수 있다’는 응답은 9.6%에 불과했다(OECD 평균 20%).

구자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제학업성취도평가연구실장은 “지금까지 PISA 순위는 해마다 소폭 변동이 있었고 2009, 2012에도 완만한 순위 하락이 나타났지만 이번 평가는 유독 하락 폭이 크다”고 설명했다. 구 실장은 “순위가 떨어진 직접적 이유는 하위권 비율의 급증인데 구체적 원인을 찾기 위해 연구·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성철 교육부 교육과정운영과장은 “정부가 실시한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도 하위권의 비율 증가 현상이 나타났다. 정부와 시·도 교육청이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계에선 다양한 해석이 나왔다. 정진곤(전 한양대 교육학과 교수) 민족사관고 교장은 “자녀 교육에 힘쓰지 못하는 빈곤층 부모가 늘면서 하위권 학생도 증가하고 있다. 이런 학생을 위해 정부와 학교가 함께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3분기 하위 10% 빈곤층 소득이 2003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김동석 한국교총 대변인은 “성적 경쟁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퍼지면서 시험을 줄이거나 치르지 않는 학교가 늘고 있다. 이런 와중에 기본적인 학력까지 학교가 외면한 건 아닌지 짚어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의 구본창 정책국장은 “시험과 상대평가가 하위권 학생의 공부하고 싶은 의욕을 오히려 꺾고 있다. 하위권도 즐겁게 참여하는 다양한 수업 방식을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남윤서 기자 nam.yoonseo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