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취재일기

창업마저 전시행정의 쇼윈도 돼서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임미진
임미진 기자 중앙일보 기자
임미진 산업부 기자

임미진
산업부 기자

15개의 창업 기업이 입주한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혁신센터)는 인천 도화동 제물포스마트타운 6~7층에 있다. 그런데 같은 건물 8~9층엔 또 다른 창업 지원 기관이 있다.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테크노파크)의 창업보육센터다. 14일 돌아본 테크노파크 보육센터는 썰렁했다. 두 개 층의 절반 가까이가 공실이다. 텅 빈 사무실이 많아 을씨년스러운 느낌이 들 정도다. 회사 간판은 달려 있는데 사무 집기 하나 없이 텅 빈 곳도 있다. 어렵게 만난 테크노파크 입주 기업인이 들려준 민심은 차가웠다.

“실면적이 9평인 이 사무실을 공급면적이 22평이라고 주장하면서 한 달에 70만원 가까이를 받는데, 누가 들어올까요.” “창업 기업을 돕는다고 하지만 프로그램이 너무…. 창업 경험도 없는 사람이 멘토라며 뻔한 교육을 하질 않나.”

테크노파크 사업도 처음부터 이렇진 않았다. 1998년 설립돼 20년 가까이 이어 온 역사 있는 사업이다. 직격탄은 2년 전 박근혜 정부가 ‘창조경제’란 슬로건을 내걸고, 전국 17개 시·도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만든 것이다. 인천은 물론 각 지역의 테크노파크가 술렁였다. 혁신센터가 들어오는 지역은 테크노파크가 위치한 시·도와 정확히 일치했다. ‘지역의 창업 기업과 중소기업을 육성한다’는 목표도 비슷했다. 혁신센터 설립 초기부터 중복 투자 논란이 빚어진 이유다.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테크노파크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테크노파크와 굳이 다른 점을 찾자면 혁신센터는 미래창조과학부 소관의, 현 정부 역점 사업이라는 것 아니겠느냐”며 쓴웃음을 지었다.

혁신센터에 돈이 몰릴수록 테크노파크는 소외됐다. 인천테크노파크 소속 창업 보육 기업은 70여 개. 이 기업에 연간 지원되는 돈은 올해 7800만원에 불과하다. 시 관계자는 “그나마 지난해엔 8000만원이 넘었는데 더 줄어들었다”며 “회의실을 지원하는 정도 외에 큰 도움을 못 주고 있다”고 말했다.

현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테크노파크를 밀어냈으니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금쯤 화려한 시절을 맞고 있는 것일까. 기자들이 돌아본 전국 17곳 센터 중 상당수는 벌써부터 힘을 잃고 있었다. “입주 기업이 일자리를 많이 창출했느냐”는 질문에 한 지역 혁신센터 관계자는 “원래 혁신센터가 가장 많이 창출한 일자리가 센터장과 멘토”라는 자조 섞인 농담으로 답변을 대신했다.

운영이 활기찬 일부 센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지역 센터는 곧 공동화될 가능성이 크다. 벌써 예산이 크게 깎였고, 센터장을 공모해도 지원하는 이가 없다. 혁신센터가 테크노파크처럼 잊힐 때쯤 그 옆에 다음 정권의 다른 전시행정용 기관이 들어서는 것은 아닌지, 벌써부터 두렵다.

임 미 진
산업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