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당선 여야 대권주자 “한미동맹 지속” “새리더십 필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도널드 트럼프가 예상을 깨고 미국 제45대 대통령에 당선되자 여야 대선 주자들은 외교ㆍ안보, 무역정책 등 급변이 예상되는 분야에 대한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여권 인사들은 한미동맹 강화에 방점을 찍은 반면 야권 대선주자들은 새로운 리더십을 상대적으로 강조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는 9일 페이스북에 “민심이 무섭다는 걸 느낀다”며 “한미 양국 간의 동맹관계는 어떤 상황 변화에도 흔들릴 수 없다”고 말했다.

유승민 의원은 입장자료를 통해 한미동맹 강화 필요성을 강조한뒤 “야3당은 총리의 권한 행사 범위에 대해 보다 분명한 입장을 밝혀 이 국정중단 사태가 장기화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미국 정부 정책에 큰 변화가 있을 걸로 예상한다. 특단의 각오와 대전환이 필요하다”며 “대한민국에 새로운 리더십을 세워 중심으로 바닥부터 리빌딩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야권 인사들은 ‘한미동맹의 지속’을 강조하면서도 박근혜 대통령 퇴진 등 국정공백 최소화를 주문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미국의 어느 분이 대통령이 되더라도 한미동맹관계, 북한 핵무기의 완전한 폐기를 위한 공조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국제정세가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중요한 시기에 국익을 지키기 위한 현명한 대처가 필요하다”며 “빠른 새출발이 필요하다”고 밝혀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를 거듭 촉구했다.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트럼프의 당선과 관련 “미국 경제 침체와 양극화 심화의 결과로 보인다”고 평한 뒤 “한미동맹이나 교역관계가 변함없이 유지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한반도 정책의 변화, 경제 무역환경의 변화 등 세계질서가 급변할 가능성 커졌다”며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안보환경과 경제 대응체계를 시급하게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조속히 퇴진하는 길만이 국정공백과 외교공백을 최소화하고 혼란의 장기화를 막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엄청난 변화와 격랑이 예고되는 국면을 국민신뢰와 권위를 상실하고 집권의 명분과 능력조차 잃어버린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에 맡기는 것은 국가적 재앙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백기 기자 ke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