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월에 임시국회-민정 야와 대화·단독 발의준비 병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민정당은 야당과의 합의 개헌 가능성을 모색하는 한편으로 내년 2월 이후부터 언제든지 독자적으로 내각 책임제 개헌안을 발의, 통과시킬 수 있는 태세를 갖춘다는 목표아래 일련의 준비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정당은 대통령의 국정연설을 듣기 위한 1월 임시국회는 야당과의 소집 합의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 금년에 이어 내년에도 추진하지 않기로 하고 대신 2월중 회기·20일 이상의 임시국회 소집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정당의 한 소식통은 19일 『민정당이 언제까지 개헌을 관철하겠다고 목표를 정한 바는 없으나 연말 연초 대대적인 내각제 홍보를 통해 내각제 개헌의 국민적 여망을 조성한 후 이를 바탕으로 대야설득을 벌일 계획』이라고 말하고 『이런 일련의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개헌을 늦출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민정당이 추진하는 개헌 스케줄은 국회발의·통과, 국민투표에 이르는 전 과정을 가급적 단 시일 내에 끝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문제와 관련, 이춘구 사무총장은 18일 하오 정기국회 폐회 후 열린 민정당 의원총회에서 『앞으로 2, 3개월이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라고 전제하고 『소속의원들은 개헌안의 국회통과와 국민투표를 위해 상시동원 체제를 구축해 총력을 기울여달라』고 말했다.
이 총장은 또『현재 민정당내에는 개헌 전열에 지장을 주는 공조직 차질현상이 30여개 지구당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 『앞으로 당은 이 같은 현상과 관련자를 엄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장은 『모든 지구당은 위원장을 중심으로 표 점검과 공 조직을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한동 원내총무는 『개헌문제는 적절한 시기에 조속히 완결함으로써 국론분열과 소모를 막아야겠다』고 말하고 『국회는 개헌문제를 축으로 운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총무는 『대통령의 내년도 국정연설을 위한 임시국회는 앞으로 당정협의를 거쳐 결정하겠으나 금년처럼 국회 밖에서 하는 방법에 아무런 불편을 느끼지 않는다』고 밝히고 『대신 임시국회는 정치·외교·안보문제에 긴급 안건이 있을때 열 계획』이라고 말해 2월중 임시국회소집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같은 발언을 종합해 볼 때 민정당은 내각제 개헌안의 독자적인 추진시기는 신중히 결정하되 발의에서부터 국민투표에 의한 확정까지는 가급적 단기간에 끝낸다는 계획인 것으로 보인다.
민정당은 내각제의 대 국민 홍보와 병행해 야당의원들 중에서도 내각제 지지자가 다수 있다고 보고 이들이 공개적으로 내각제를 지지할 수 있는 정치환경을 조성해 나가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민정당은 이와 아울러 오는 29일 이재형 국회의장 주선으로 3대 대표회담을 갖는 것을 비롯, 20일의 사무총장 회담, 이어 총무회담 및 헌특간사 회의를 열어 야당과의 대화 분위기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