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은 협상대상이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미국이 제의한 원화의 평가절상문제에 대해 앞으로도 복수통화 바스킷에 의한 현행 변동환율제도를 계속 유지해 나갈 방침이며 인위적인 평가절상은 전혀 고려하지 않기로 공식방침을 정했다. <관계기사 2면>
정인용 재무부장관은 2일 최근의 미국 측 대한환율협상제의에 관해 공식 기자회견을 갖고 『환율의 변동폭과 운용제도 등의 문제는 국가간의 협상대상이 될 수 없다』고 인위적인 절상의 의도가 없음을 못박고『그러나 국가간의 경제문제에 관한 관심표명이나 의사표시에 따른 대화는 언제든지 할 수 있는 일』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와 관련, 4일「리처드·워커」주 한미대사를 재무부로 불러 최근 환율 논의와 관련, 양국정부간의 협의에 앞서 미국언론에 보도되는 등 미국 측의 부적절한 처사에 대해 유감의 뜻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 장관은 또『앞으로도 정부는 복수통화 바스킷에 의한 현행 변동환율제도를 계속 유지해 나갈 방침이며 인위적인 평가절상은 전혀 고려치 않고 있다』고 분명히 밝히고『달러화가 앞으로도 계속 약세를 지속할 경우 우리의 대미환율은 실세에 따라 평가절상 되도록 돼 있는 게 현행환율제도』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날 지난달 31일 미 재무 성「멀포드」차관보가 김경원 주미대사와 만나 원화의 대미 환율문제를 협의하고 싶다는 의사표시를 한 자리에서 미 측의 구체적인 원화 절상 폭에 대한 요구가 있었느냐는 질문에 대해『환율의 속성상 그 같은 내용을 밝히지 않는 것이 옳다고 판단되므로 현재로서는 언급을 회피할 수밖에 없다』고 답변했다.
그는『그러나 미국 측으로부터 환율협상의 방법, 예컨대 협상시기와 누가 협상에 나갈 것인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제의는 받은바 없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앞으로의 환율문제협의와 관련, 『대화와 협상은 다른 문제』라고 밝히고『우리로서는 미국 측의 대학제의에 대해 인색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앞으로 원화 절상문제로 한미정부간 대표자들이 만날 예정임을 시사했다.
정 장관은 또『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원화 환율수준이 적정하다는 판단까지 나온 마당에 미국 측의 환율협상제의는 한국에 대한 내정간섭이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도『양국간의 경제문제에 대해 의사표시를 하고 특히 유대가 긴밀한 한미간의 그 같은 대화는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답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