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책 무색, 8월 가계대출 8조7000억 증가…역대 8월 중 최대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이 무색하게 8월에도 가계대출이 8조7000억원 증가했다. 연중 최대폭일 뿐 아니라 한국은행의 현재 통계기준 편제(2008년) 이후 8월 증가 폭으로는 최대치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6조2000억원으로 역시 역대 8월 중 최대폭 늘어났다. 전문가들은 신용대출·비은행대출·비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여신심사 강화 등 추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월간 기준으로 지난해 10월의 9조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 증가 폭이기도 하다. 지난해 8월 증가 폭보다는 무려 7조7000억원이 더 많은 액수이며, 2010~2014년 8월 평균 증가 폭보다도 3조1000억원이 더 많다. 최근 가계대출 증가액은 6월 6조5000억원, 7월 6조3000억원으로 6조원 대를 유지해왔다.

8월 가계대출 증가 주범은 마이너스 통장대출 등이었다. 휴가철 수요 등으로 마이너스 통장대출 등의 증가폭은 7월 5000억원에서 8월 2조5000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2010년 5월(2조7000억원) 이후 최대치이자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금액이다. 물론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도 7월 5조7000억원에서 8월 6조2000억원으로 더 커졌다. 역시 8월 기준 사상 최대치다.

정부가 가계부채 대책을 내놓은 것이 8월 25일이라 정책 반영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가계대출 증가 폭은 우려할 만한 수준이다. 이와 관련해 이날 금융위·주택금융공사가 공동 개최한 ‘가계부채 주요이슈와 정책과제’ 토론회에서는 추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문이 쏟아졌다.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 등 토론회 참석자들은 ▶신용대출·비은행대출·비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여신심사 강화▶중·고령층 자영업자에 대한 대출 건전성 강화▶다중채무자 리스크에 대한 대책 마련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박진석 기자 kaila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