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인양 후 선체 절단…객실 분리해 미수습자 수습키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세월호를 인양한 뒤 미수습자 수습을 위해 객실 구역을 분리해내는 방식을 추진하기로 했다. 세월호 사고 유족들은 객실이 무너져 내릴 가능성이 있어 해당 결정을 유보하라고 촉구했다.
해양수산부는 해당 전문가들과 한 달간 세월호를 인양한 뒤 선체 정리 방식을 분석한 결과 눕혀진 상태에서 객실 구역만 분리해 바로 세운 뒤 작업하는 방식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29일 밝혔다.

해수부는 지난 5월 정리용역 업체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를 통해 6월 객실 직립방식을 제안한 코리아샐비지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유가족과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었다. 하지만 유가족과 특조위는 선체 훼손은 안 된다고 반발하며 플로팅독이나 육상에서 바로 세우기 등의 대안을 검토하라고 요구했다. 해수부는 이에 따라 지난달 27일 관련 분야 전문가 8명이 참여하는 관련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기술 타당성을 검토했다.

TF는 그동안 객실 직립방식과 유가족 등이 제시한 인양 후 객실 분리 없이 수직으로 진입해 수습하는 방식을 검토했다. 검토결과 작업 기간과 선체 손상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객실 직립방식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결론내렸다.

객실 직립방식은 객실부만 분리해 바로 세운 상태에서 작업해 미수습자 수습에 60일 정도 소요된다. 반면 육상 직립방식은 수습에 최소 150일 정도 소요되며 이론적으로는 구조적 손상은 없을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선체 무게를 줄이려면 외판을 절단하고 화물을 반출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해 준비 작업에만 78일이 걸리고, 직립 과정에서 128가닥의 쇠줄로 인해 객실부가 손상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연영진 해수부 세월호선체인양추진단장은 “눕혀진 세월호는 아파트 9층 높이 수직절벽으로, 2년 반 동안 침몰 상태로 있었기에 곳곳이 함몰 우려가 있어 수습작업을 하기에 열악한 여건”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특조위는 이날 “객실직립방식 강행을 즉각 유보하고 피해자들이 납득할 수 있는 기술검토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종=김민상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