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문 성향 온라인 당원 3만5000명, 더민주 대표 경선 사실상 쥐락펴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전당대회에서 온라인으로 입당한 권리당원의 영향력이 너무 크다. 전대가 끝나면 논란이 거세질 것이다.”

시·도당위원장 경선 때 위력 발휘
친문 성향 후보들 주요 지역 당선
대표·대선후보 경선 영향력 논란

8·27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 출마한 한 최고위원 후보는 24일 선거 판세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더민주가 문재인 대표 시절 허용한 온라인 입당을 통해 권리당원(당비 낸 당원) 자격을 얻은 이들이 전대의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더민주는 ▶대의원 현장투표 45% ▶권리당원의 자동응답시스템(ARS) 투표 30% ▶전화여론조사 25%(국민 15%, 당원 10%)를 반영해 당 대표를 뽑는다. 전대에 참여하는 대의원은 총 1만4275명이고, 권리당원은 19만9401명이다. 이들 권리당원 중 3만5000명가량이 주목 대상이다. 이들은 문재인 대표-최재성 총무본부장 시절 투표권을 가진 권리당원이 됐다. 당시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가 탈당하자 문 전 대표에게 힘을 실어 주기 위해 입당한 이가 많아 친문(친문재인) 성향이 강하다.

친문 성향 권리당원들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들을 패키지로 묶어 투표하자는 캠페인도 벌이고 있다. 문 전 대표 지지자들이 모이는 SNS에선 ‘추미애 대표, 양향자 여성 최고위원, 김병관 청년 최고위원’을 한데 묶어 투표하자는 메시지가 돌고 있다.

이들의 위력은 시·도당위원장 경선에서 드러났다. 지난 20일 서울시당위원장 경선에서 주류 측 김영주 의원은 대의원 투표에서는 박홍근 후보에게 4%포인트 뒤졌다. 하지만 권리당원 투표에서 15%포인트 앞서 역전승했다. 서울뿐 아니라 더민주의 시·도당위원장 경선에서는 제주도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곤 친문 성향 후보들이 일제히 승리했다.

온라인 당원의 위력은 더민주의 대선 후보 경선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친노 성향으로 추 후보를 돕고 있는 정청래 전 의원은 트위터에 “서울시당·인천시당은 권리당원의 승리다. 전대 후 대선 경선에도 권리당원이 힘을 모아야 한다. 전대 이후 권리당원 입당 러시 운동을 펼치겠다”고 적었다.

비주류로 분류되는 한 중진 의원은 “대선 후보 경선은 후보 측이 만나 룰을 정하게 되겠지만 친문 성향의 온라인 당원들이 선거 결과를 좌우하게 되면 다른 대선 주자들이 반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성탁 기자 sunt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