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행' 정유미 "스타는 아니지만, 꽃길만 걸었죠"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배우 정유미의 연기에선 따뜻함이 느껴진다. 좀비물 '부산행'에서도 마찬가지다.

정유미는 7월 20일 개봉해 전국 관객 800만을 넘어선 영화 '부산행(연상호 감독)'에서 마동석(상화)의 아내 성경을 맡아 열연했다. 위기의 순간에서 나 보다는 남을 먼저 배려하는 인물이다.

만삭의 임산부 설정이라 공유나 마동석처럼 화려한 액션을 선보이진 않지만 대신 따뜻한 메시지를 던진다. 정유미는 "성경처럼 멋있는 사람이 아니다. 이런 캐릭터를 통해 (인생을) 배울 때 좋다"고 말하지만 사실 성경은 가식없고 정 많은 정유미의 모습과 많이 닮아 있다.

정유미 특유의 개성과 매력이 잔뜩 배어있는 이 영화로 좋은 성적까지 받고 있다. 개봉 12일 만에 800만 명을 돌파했다. 생애 첫 1000만배우 타이틀을 달 날이 멀지 않았다.

-만삭의 임산부 설정이다. 부담스럽진 않았나.

"전혀. 나에 대한 오해가 있는 것 같다. 어떤 작품이 들어왔는데 애 엄마로 나오는 설정이라 내가 거절했다는 얘기가 있더라. 그런 이유로 거절한 적은 없다. 거절할 때 충분히 이유를 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만삭 설정이라서 거절했다며?'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더라. 정말 오해다. 내가 할 일은 작품 안에서 연기를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에 만삭의 임산부 설정이 전혀 부담스럽지 않았다. 이미지 걱정도 되지 않았다."

-좀비들에게 쫓기는 장면이 많았다.

"좀비가 뒤에서 쫓아오는 장면에서 진짜로 (내 속도대로) 뛸 수 없었다. 그러면 카메라가 쫓아올 수 없기 때문이다. 빨리 뛰는 것처럼 보여야하는데 그렇다고 해서 다리를 빨리 움직이면 카메라 찍는 분이 힘드니깐 속도조절을 해야했다. 그게 좀 힘들더라."

-공유 딸로 나오는 김수안과 호흡은 어땠나.

"('부산행'은) 장르 때문에 정서적으로 상대와 교감할 수 있는 장면이 많지 않았다. 감정신은 빨리 넘어가고 기술적으로 보여줘야하는 게 많은 영화였다. 주어진 시간 안에서 정서를 표현하고 교감해야하는데 수안이랑 찍으면서 뭉클한 경험을 했다. 수안이와 찍으면서 굉장히 감동스러웠던 순간도 있었다."

-성경은 참 멋있는 역할이었다고 생각한다.

"난 그런 사람은 아니다. 그래서 이런 캐릭터를 통해 (인생을) 배울 때 좋다. 사실 연기를 하면서 큰 재미를 느낄 때는 성경 같은 (착한) 역할 보다는 악역을 맡아 변신을 할 때다. 하지만 이번엔 연기하면서도 재밌었고, 감사했다. 이번처럼 연기를 하면서 나란 사람을 돌아보게 될 때 창피하다. '도가니'때도 (연기할 때 느낀 감정이) 그랬다."

-단 벌 의상을 입고 나왔다.

"단 벌 의상이거나 흙분장을 하고 찍을 때가 제일 편하고 좋다. 신경쓸 게 많지 않다. 영화에서 나온 의상은 한 벌이지만, 같은 옷이 여러 벌 있어서 갈아있업다.."

기사 이미지

-영화에서 '아줌마'라는 말을 듣는다.

"내가 이제 그럴 나이이지 않나. (웃음) 영화에서 듣는 건 괜찮다. 물론 다른데에서 듣는 건 싫다. 평소엔 아줌마라는 소리를 들어본 적은 없다. 이번에 촬영할 때 좋았던 것 중 하나가 수안이가 언니라고 불러준 점이다.(웃음)"

-마동석과 부부 호흡을 맞췄다.

"사실 부부로 나오지만 같이 할 수 있는 장면은 많지 않았다. 그럼에도 우리 둘 사이가 끈끈해보였다면 그건 마동석 선배님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덩치 만큼이나 에너지가 어마 어마한 분이었다. 처음에 만났을 떈 전작에 대한 이미지가 있어서 이성적인 분이라고 생각했는데 진짜 섬세한 분이었다. 사실 이런 (좀비물 장르의) 영화에서 정서를 나누는 게 쉽지 않은데 연기하면서 뭔가 어우러지는 느낌을 받았다. 선배님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아직도 작품에서 첫 촬영할 때마다 떠는데 선배님이 첫 촬영에서 유연하게 애드리브도 하고, 편한 모습을 보여줘서 잘 찍을 수 있었다. 선배님은 장르물도 많이 하고, 다양한 경험을 한 분이지 않나. 확실히 경험이 많은 분은 다르더라."

-공유와는 '도가니'에 이어 또 한 번 같은 작품을 했다. 부산 출신이니, 다음 작품에선 사투리를 쓰는 설정으로 멜로를 찍으면 어떨까.

"진짜 재밌을 것 같다. 오빠랑 두 번이나 같이 작품을 했는데 그런 멜로나 로맨스 라인은 없었다. 다음에 해보면 재밌을 것 같다."

-평소 작품을 대하는 태도가 궁금하다.

"촬영기간 동안 하루종일 그 캐릭터의 감정에 깊이 빠져있는 편은 아니다. 촬영 며칠 전부터 그 캐릭터의 상황과 상태로 있는 건 불가능한 일이다. 이번 영화는 워낙 많은 배우가 많이 나오고 짧은 커트(신)가 많아서 정서를 계속 끌고가는 게 오히려 방해가 될 것 같았다. 그래서 최대한 그 순간 집중하려고 노력했다. 촬영할 땐 밥을 거의 안 먹는 편이다. 배까지 부르면 몸이 너무 편해지니깐 일부러 잘 안 먹는다. 그런데 너무 안 먹으면 (얼굴이) 창백해지기도 하고,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서 창피하다. 그래서 그때마다 밥은 안 먹고 대신 젤리를 먹고 그랬다.(웃음)"

-지금까지 배우 정유미의 인생은 꽃길이었다고 생각하나.

"꽃길만 걷지 않았나?(웃음) 난 그렇다고 생각한다. 대중들이 바라보는 시선과 상관없이, 작품 흥행과 상관없이 내 스스로는 그랬다고 생각한다. 데뷔는 얼떨결에 했지만 그 다음 영화도, 그 다음 다음 영화도 다 좋았다. 드라마의 시작도 좋았다. 작품 때문에 힘들었던 적도 없다. 물론 대중이나 관계자들이 바라보는 기대감과 (내 만족도가) 괴리감이 있을 수 있지만 작품 흥행 여부를 떠나서 좋았다고 생각한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