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숙·김수민 의원 구속영장 또 기각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90호 1 면

검찰의 국민의당 4·13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의혹 수사에 제동이 걸렸다. 의혹의 중심에 선 국민의당 박선숙(56·비례대표 5번)·김수민(30·비례대표 7번) 의원에 대한 두 번째 구속영장마저 기각됐기 때문이다. 서울서부지검은 28일 두 의원에 대해 기각된 구속영장을 재청구했다. 검찰은 대검 공안부까지 나서 “20대 총선 사범 100명이 구속됐고 두 의원은 총선 사범 가운데 혐의가 가장 무겁다”며 재청구에 힘을 실어 줬다. 하지만 서울서부지법 박민우 영장전담판사는 30일 새벽 “도주와 증거인멸의 우려가 없고 현 단계에서 이들에 대한 구속은 피의자 방어권을 지나치게 침해한다”며 두 번째 영장도 기각했다.


검찰에 따르면 박 의원은 총선 당시 선거공보 업체 두 곳으로부터 리베이트로 총 2억여원을 받아 김 의원이 있던 당 홍보TF에 지급한 혐의 등을 받고 있다. 또 김 의원은 자신이 대표로 있던 광고업체 ‘브랜드호텔’에 당 홍보TF팀을 꾸린 뒤 허위계약서로 약 1억원을 받은 혐의다. 잇따른 영장 기각으로 검찰은 무리한 수사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박선숙·김수민 구속영장 기각입니다. 오! 필승 국민의당. 오늘은 일단 행복합니다”는 글을 올렸다. 박 비대위원장은 검찰에 대한 비판 강도도 높였다.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검찰은 새누리당 ‘동영상 리베이트 사건’ 수사를 신속히 하고 그 결과를 발표할 것을 촉구한다”며 “국민의당 사건은 언론보도용 기사거리 제공도 잘하던 검찰이 ‘포켓몬 고’ 게임하러 속초에 갔을까요”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권력에는 자비를’ ‘야당엔 혹독한 칼을’ 사용하니 검찰 개혁 필요성이 나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영장 기각으로 대표직에서 물러났던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도 일단 부담을 덜게 됐다는 게 국민의당 안팎의 평가다.


오이석·최선욱 기자oh.i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