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경영 신시장 개척하다] 콘텐트 차별화, 온라인·모바일 유통채널도 확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5면

기사 이미지

신세계는 온라인 유통 강자의 면모를 새롭게 갖추기 위해 전통적인 오프라인 유통채널 역량을 활용해 공격적인 온라인·모바일 전략을 펼쳐나갈 방침이다. 지난해 7월 처음 선보인 SSG페이는 현재 190만 설치자수를 넘어 안정적으로 순항 중이다. [사진 신세계]

신세계그룹은 급변하는 유통환경에 발맞춰 온라인에 사업역량을 집중한다. 신세계는 온라인 유통 강자의 면모를 새롭게 갖추기 위해 이마트·백화점 등 전통적인 오프라인 유통채널 역량을 활용해 공격적인 온라인·모바일 전략을 펼쳐나간다는 방침이다. 신세계그룹은 오프라인의 강점과 SSG닷컴·SSG페이·신세계TV쇼핑 등을 서로 연계한 시너지를 바탕으로 온라인·모바일 유통채널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신세계

올해 초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업종과 채널의 경계가 점점 사라지고 시시각각 변하며 미래는 늘 불확실한 시대에 직면할 것”이라며 “온라인·모바일 환경에서 적응 가능한 변화를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신세계그룹의 대표적인 ‘온라인 복합쇼핑몰’인 SSG닷컴은 이마트몰의 당일배송 서비스를 강화한다. 이마트몰은 당일배송 서비스 강화에 필요한 하드웨어 보강 차원에서 두 번째 온라인 전용센터인 ‘김포센터’를 2월 오픈했다. 기존 보정센터의 2배 규모의 온라인 전용센터인 ‘김포센터’ 오픈으로 인천을 포함한 서울·수도권 서남부권에서도 온라인전용센터를 통한 배송이 가능해 졌다. 한편 SSG닷컴은 유기농·피코크·명품브랜드 등을 카테고리별로 한 곳에 모은 숍인숍 형태의 온라인 전문관을 강화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여 나가기로 했다.

지난해 7월 처음 선보인 SSG페이는 1년을 맞은 현재 190만 설치자수를 넘어서는 등 안정적으로 순항 중이다. 이마트·백화점·스타벅스 등 신세계그룹의 모든 유통채널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결제 서비스인 SSG페이는 바코드 스캔 한번으로 결제, 포인트 적립, 쿠폰 할인까지 모두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신세계포인트·OK캐쉬백·하나머니 등 멤버십 포인트를 SSG머니로 전환해 현금처럼 사용할 수도 있는 선불형 간편결제 서비스도 SSG 페이의 특징 중 하나다.

지난해 말 출범한 ‘신세계쇼핑’을 통해 T-커머스 시장에서도 새로운 도전을 이어간다. 신세계쇼핑은 이마트의 우수한 상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기존 홈쇼핑 채널과 차별화할 수 있는 색다른 콘텐트 생산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송덕순 객원기자 song.deoks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