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상하이 디즈니랜드 오늘 개장, 연 3조원 이상 경제효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기사 이미지

중국 상하이 디즈니랜드가 16일 개장한다. 상하이 디즈니랜드는 상하이 국내총생산(GDP)을 매년 0.8% 이상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신화·AP=뉴시스]

총 55억 달러(약 6조5000억원)를 투자한 아시아 최대 테마파크 상하이 디즈니랜드가 16일 개장한다. 상하이 선디(申迪)그룹이 57%, 월트디즈니가 43%의 지분을 보유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상하이 디즈니랜드 매출이 연 195억 위안(3조5000억원)으로 상하이 지역총생산(GDP) 0.8% 상승 효과가 기대되며 부가 소비를 포함한 간접 효과는 그 두 배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변에 3억 명…연 1500만 명 입장
“상하이 GDP 한 해 0.8% 오를 것”
유커 많이 찾는 도쿄디즈니 타격

업계는 상하이 디즈니랜드 입장객이 매년 15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밥 아이거 월트디즈니 최고경영자(CEO)는 15일 “세계 최대 시장 중국에서 추가 성장을 위해 세계 여섯 번째인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현 3.9㎢ 외에 상하이 정부로부터 확보한 3㎢ 부지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개봉한 디즈니 인기 애니메이션 주토피아 월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기본 고객은 2500만 상하이 시민과 운전 반경 3시간 이내의 3억3000만 창장(長江) 삼각주 인구다. 허젠민(何建民) 상하이재경대 관광경영학과 교수는 “디즈니랜드의 놀이기구와 퍼레이드 공연이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업그레이드해 문화상품에 대한 욕구에 불을 붙일 것”이라고 말했다.

상하이 디즈니랜드는 중국인 취향에 맞춰 현지화에도 힘썼다. 13일 월트디즈니 극장에서 시연한 중국어 버전의 ‘라이언 킹’ 뮤지컬에는 주인공 심바를 도와 늑대 무리를 물리치는 손오공이 등장했다. 인파와 비싼 식음료 가격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기사 이미지

지난 5월 7일부터 6월 11일까지 시범운영 기간에 100만여 명이 방문했다. 놀이기구 ‘지평선을 날아서’는 대기시간이 주말에는 6시간에 육박했다. 성수기 499위안(8만9000원)의 성인 입장료는 디즈니랜드 중 가장 저렴하지만 핫도그 25위안(4500원), 최소 70위안(1만2600원)의 식사 가격에 관람객의 불만이 많았다. 인근 호텔은 두 배 가격에도 동이 난 상태다.

토종 경쟁사의 반격도 거세다. 완다(萬達)그룹은 2020년까지 전국 15개 도시에 200억∼500억 위안씩 투자한 ‘완다시티’를 개장해 디즈니랜드와 겨룰 계획이다. 왕젠린(王建林) 완다 회장은 지난달 22일 중국중앙방송(CC-TV)에 출연해 “완다가 있는 한 상하이 디즈니랜드는 20년 안에 흑자를 못 낼 것”이라며 “좋은 호랑이(디즈니)도 한 무리 늑대(완다)를 이길 수 없다”고 말했다.

기사 이미지

신데렐라 분장을 한 직원과 중국인 소녀. [신화·AP=뉴시스]

한국도 디즈니 영향권에 들어갔다. 하나투어 조일상 홍보팀 과장은 “하반기에 상하이 디즈니랜드와 연계한 가족 관광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며 중국 여행의 이미지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상하이 온라인매체 펑파이(膨湃)는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평균 소비액은 해외여행 수준인 하루 2000위안(36만원)으로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가 많이 찾는 도쿄 디즈니랜드나 해외여행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도쿄 디즈니랜드의 지난해 입장객 수는 3040만 명이다.

한국은 ‘테마파크의 무덤’이 되고 있다. 2007년 이후 지자체와 공기업은 파라마운트·엠지엠(MGM)·유니버설스튜디오 등 할리우드 영화사의 테마파크 건설 계획을 발표했지만 성사된 것은 한 건도 없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자금난과 국내 사업자와의 마찰 때문이다.

윤병국 경희사이버대 관광레저항공경영학과 교수는 “상하이나 오사카는 정부에서 특별법을 만들어 전폭적인 지원을 해 주는 이른바 특혜를 통해 가능했다”며 “한국에서는 수도권 정비계획법이나 군사보호구역 규제에 묶여 있는 데다 특혜를 주려 해도 이권 다툼 때문에 테마파크가 사업을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세종=김민상 기자 shin.kyung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