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 성전건립 찬반시비 지방까지 확산|경북 청도 유림들, 추진위고문 추대에 기독교계서 반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서울시의 단군성전 건립을 둘러싼 찬반 시비가 지방까지 확대, 심화되고 있다. 최근 지역 유림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경북청도군 단군봉안추진위가 군내 일부 기관장을 고문으로 추대한 문제가 4개월째 계속돼오고 있는 찬반시비에 또 하나의 뜨거운 이슈로 등장한 것이다.
단군성전건립에 대한 기독교대책협의회 (대표회장 유호준목사) 는 청도군 단군봉안추진위가 군수·경찰서장·교육장을「임의 추대」 한데 대해 대책회의를 가진데 이어 정부당국에 질의서를 냈다. 협의회에 앞서 장로교 고신측은 층회장 명의로 질의서를 제출, 당국으로부터 지난 2일 『조회 결과 임의 추대였다』 는 회신을 받았다.
기독교계의 반대가 8·15광복절을 계기로 전국 교회및 지역 기독교 기관으로 확대되자 단군성전건립 찬성측도 강연회·세미나·협의체 구성등으로 맞서고 있다.
한국민족종교협의회는 지난7일 서울관광호텔에서 제29차 회합을 갖고 협의회를 확대·개편해 새롭게 창립하는 문제를 검토했다.
또 같은날 프레스 홀에서는 홍익학회가 민족사관 건립및 단군성전건립을 위한 대강연회를 갖고『단군성전 건립은 민족의 대사이며 나라의 일』 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단군성전 건립에는 불교계와 유림도 아직 적극적인 찬성활동은 없지만 음양으로 가담하고 있다.
기독교계는 대책협의회가 지난 8·15광복절에「전국교회에 드리는 말씀」이라는 교계신문 광고 성명을 통해 광복절기념 예배때 단군성전건립 반대예배를 겸하도록 촉구했고 지난달 14일에는 각 교단별 총회임원회 반대 결의를 권고했다.
기독교계는 단군을 깃점으로한 한민족의 정통성 주장에 대해 『우리 한민족은 단일인종의 족속이 아니고 복합인종으로 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주장하면서 기독교인들의 단군성전건립 반대서명운동도 불사하겠다고 했다.
정부당국이나 단군숭모 종교·사회단체는 성전건립추진은 특정 종교적 차원이 아니라 민족의 뿌리를 찾는 국조숭봉임을 거듭 밝혀봤다.
따라서 기독교계의 시비 표적인 정부당국과 국고의 특정종교지원은 민족사관대 세계주의라는 차원으로까지 내연하면서 심화되고있다.
또 기독교계가 주장하는「일본의 신사화」우려도 아직은 미래 예측의 논리에 머무른채 일부 국민들의 감정을 자극, 기독교가 지금까지3·1운동, 6·25전쟁등의 국가위기 때마다 민족과 일체감을 이루었던 전통과는 다른 양상이다.
어쨌든 단군성전건립문제는 이제 대규모 공청회·TV토론등과 같은 보다 넓은「여론의 광장」 을 통해 국민여론을 수렴, 결말을 내야할 것 같다.<이은윤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