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국 금리, 일본 양적완화, 영국 브렉시트…긴장의 6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1면

6월 한 달 유난히 많은 글로벌 경제 이벤트가 몰리면서 투자심리도 얼어붙었다. 변수가 너무 많은 탓에 시장이 어떻게 흐를지 예측하기 어려워지자 투자자도 관망세로 돌아섰다는 얘기다. 가장 주목을 끄는 것은 14~15일로 예정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인가 여부다.

기사 이미지

최근까지 미국 경제지표가 개선 추세여서 6월 인상설이 힘을 얻었다. 그러나 지난 3일(현지시간) 발표된 미국의 5월 비농업 취업자 수가 3만8000명밖에 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자 분위기가 반전했다. 2010년 이후 최저 증가 폭이었기 때문이다. 시장 참여자들은 6일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필라델피아 세계정세협의회(WAC) 연설에서 향후 금리 인상에 대해 어떤 견해를 내놓을지 주목하고 있다.

미국 FOMC 금리 인상 유력했지만
5월 신규고용 4만명에 그쳐 불투명
일본, 경기부양 위해 발권력 쓸 수도
영국, EU 탈퇴 땐 외환시장 요동
한국, 펀드 유입 2011년 이후 최저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를 결정하는 이른바 브렉시트(Brexit) 국민투표도 관건이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등은 모두 23일 투표에서 영국이 탈퇴 쪽으로 기울 경우 증시가 폭락하고 외환시장이 요동치는 등 악재가 속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현재 영국의 잔류를 예상하는 사람이 더 많지만 브렉시트 투표는 이성이 아닌 감성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결과가 주목된다”고 보도했다.

15~16일 일본은행의 통화정책회의도 관심을 끈다. 아베노믹스가 최근 동력을 잃어 가면서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일본은행 총재가 극단적인 양적완화책인 ‘헬리콥터 머니’를 도입할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헬리콥터 머니는 정부가 발행한 영구 국채를 중앙은행이 사들여 돈을 공급하면서 이를 재원으로 감세, 공공투자 등 재정 확대를 하는 방안이다. 경기 부양에 중앙은행의 발권력을 동원하는 극약처방이다.

이처럼 시장의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워지면서 국내 투자자들도 방어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김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5월 국내 주식형펀드(상장지수펀드 제외) 유입액은 1조393억원으로 2011년 이후 최소 규모”라며 “5월엔 4월 고점 대비 코스피지수가 80포인트 이상 하락했는데도 펀드 유입액이 적었던 것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해운·조선업의 구조조정 소식이 소비심리뿐 아니라 투자심리도 악화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기사 이미지

◆미국 신규 고용 6년래 최저 미스터리=세계 금융시장은 암호 해독 모드다. 지난 3일 미국 비농업 신규 취업자 수가 5월 한 달 동안 3만8000개밖에 늘지 않았다는 발표 때문이다. 한 달 전인 4월엔 12만3000개가 늘었다. 거의 3분의 1토막 났다. 월가의 예상치는 16만 개 정도였다. 일부 미 언론은 ‘고용 쇼크’라고 묘사했다. 그럴 만했다. 신규 취업자 수는 미 경제지표 가운데 주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통계다. 미 경제분석회사인 이코노믹아웃룩 그룹의 수석 분석가인 버나드 버몰은 “월별 경제통계 가운데 가장 먼저 발표되는 데다 조사와 발표 시점의 차이가 가장 짧은 게 일자리 통계라서 월가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설명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전문가의 말을 빌려 “이동통신회사 버라이즌의 파업 사태로 노동자 3만1000명이 취업 상태가 아닌 것으로 통계에 잡혀 새 취업자 수가 적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취업자 수는 기본적으로 변동성이 가장 큰 지표로 꼽힌다. 적잖은 전문가가 5월 치에 큰 의미를 두지 않으려 하는 이유다.

굳이 일자리 창출이 지난해처럼 다달이 20만 개씩 이뤄질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있다. 옐런 Fed 의장은 최근 의회 청문회에서 “10만 개에 좀 미치지 못해도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발언했다. 그의 발언을 기준으로 해도 5월 치 3만8000개는 턱없이 적다. 게다가 제조업체 가운데 고용을 늘린 곳은 5월에 51%에 그쳤다. 두 달 전인 3월엔 56%였다. WSJ는 “시간당 평균임금의 증가 추이도 좋지 않다”고 전했다. 다만 5월 실업률은 4.7%로 한 달 전 5.0%보다 개선됐다. 이는 일자리가 는 게 아니라 경제 상황에 실망한 사람들이 구직활동을 포기해 경제활동인구가 줄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강남규·박성우 기자 disma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