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윤상현 면담 거부…윤, "녹취는 음모" 재주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9일 자신을 향해 ‘막말’을 한 윤상현 의원의 사과면담 요청을 거절했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가 끝나는 시간에 맞춰 당 대표실에 도착했다. 이후 김 대표 방 바로옆 비서실에 대기하고 있던 윤 의원은 회의가 끝나고 일부 참석자들이 나가자 방으로 들어가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김 대표는 보좌진을 통해 “윤 의원과 지금은 만나지 않겠다”는 뜻만 전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 의원이 대표실을 떠나지 않자 김 대표는 접견실 쪽 문을 통해 복도로 나와 국회 본청을 떠났다. 이 과정에서 김 대표에게는 취재진이 몰려 “윤 의원 발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조직적인 ‘김무성 찍어내기’가 있다고 보느냐” 등을 물었지만, 김 대표는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은 채 차에 올랐다.

이에 따라 30분 가까이 대기만 하다가 발길을 돌기게 된 윤 의원은 기자들의 질문에 “우리 (김) 대표님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면서도 “사적인 대화 녹음은 음모”라고 ‘음모론’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의 측근은 “진상도 밝히지 않은 채, 사전조율도 없이 찾아와 무조건 만나자고 하고, 그 자리에서 음모론까지 제기하는 게 사과하겠다는 사람의 자세는 아닌 것 같다”고 불쾌함을 표시했다.

다음은 윤 의원의 발언과 일문일답.

“지난 2월 27일, 친박 핵심인사가 김무성 대표에게 40여명의 살생부 명단을 전달했다, 김무성 대표가 그 말씀을 하셨다라는 뉴스가 있었다. 한마디로 거짓이다. 절대로 그런일은 없다. 제가 그 얘기를 듣고 있지도 않은 살생부 때문에 너무나도 격분한 상태였다. 그 상태에서 제가 지역분들하고 술을 많이 마신 상태하에서 여러 하소연을 했고 그게 이런 말을 하기에 이르렀다. 일단 우리 대표님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라는 말씀을 드린다. 그리고 여러분 모두에게도 사과를 드린다.”

(기자들)김 대표에게 사과의견 전달했나
“아니 그래서 그리고…취중의 사적 대화까지 녹음을 해서 언론에 전달한 행위는 의도적인 음모다라는 말씀을 드린다.”
김 대표랑 만나긴했나
"제가 대표께 어제 전화를 드렸다. 전화 안 받으셨고요. 제가 오늘 말씀을 드리러 왔다. 저의 진뜻을 말씀드리러 왔다. 근데 뭐 대표께서 옆문으로 빠져나가시는거 보셨죠. 이상이다."
전화 대상자 누군지 밝힐 수 있나.
"제가 그날 정말로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제 주변사람이 녹음을 한 것 같은데 하도 술을 많이 마셔서 누구랑 대화인지 솔직히 기억이 나지 않는다."
통화기록보면 알지 않나
"아. 근데 기록을 봐도 이 사람인가 저 사람인가 저하고 친한 사람인 것 같은데 기억이 나지 않는다."
아까 지역분이라고 하지 않았나.
"지역분들하고 술을 마셨다."
녹음할 가능성있는 분이 지역분이란 말 아녔나.
"네네, 저를 찾아온 분 중 한분..."
통화 대상자가 누군지가 핵심인데 확인해줘야하는 것 아닌가.
"근데 그건 제가 확인되는 대로, 제가 지금 기억을 되새기고있다. 확인하는대로 말씀드리겠다."
윤리위제소와 의총소집까지 다양한 얘기 어떻게 대응할 건가.
"저 자신도 대단히 황당하고 송구스럽다. 솔직히 저도 황당하고 송구스럽다. 그래서 자중자애하겠다."
아까 녹음 자체가 의도적이라고 했는데/
"의도적이다."
어떤 의도 있다고 보나.
"그건 모르겠다 의도적인 녹음이다."
수사적 대응할건가.
"그건 아직 확인해보고 사실관계 확인한 다음에..."
용퇴론 얘기도 나오는데.
"용퇴론? 저 스스로도 황당하다. 그리고 한번 생각해보십시오. 제가 그날 취중에 얼마나 격분했습니까. 살생부 명단 있습니까? 살생부 명단 있습니까? 명단이 있다고 얘기하고 솔직히 살생부 명단 봤습니까? 살생부 명단 친박핵심인사가 전달했다...그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제 입장이 한번 되보십시오. 있지도 않은 살생부 파문, 제 입장에서 핵심인사란 게 몇명이겠습니까. 절대로 그런 일이 없는데 그게 대문짝만하게 뉴스 보도에 나오는데 여러분들 입장이라면 어떻겠습니까.

그리고 이게 물론 제가 취중에 실언한 건 사실이다. 그러나 참 이걸 녹음해서 유포하고 이거는 정말 근절돼야 한다."

그날 통화한 분 중에 공천위원도있나
"전 그건 아니라고본다. 제가 공천관리위원한테 전화해서 막 그렇게 할 그건 아니다, 그건 절대 아니다."
청와대 핵심인사와 통화했다고도 하는데.
"그것도 아니다."
기억 안 난다면서 어떻게 확신하나.
"말투가 그런 험한 말을 할 수 있는 분이 (청와대나 공천위엔) 없다."
살생부 파문 진위여부 떠나, 발언 자체가 공천 개입시도란 해석도 있는데.
"공천개입 시도는 절대 아니다. 그건 제가 확실히 얘기한다. 저는 하늘을 우러러 확실히 얘기한다."

남궁욱·김경희 기자 periodist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