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호의 은퇴 팁] 증시 불확실성 높을 땐 적립식펀드로 장기투자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기사 이미지

한국 증시는 외국인이 쥐락펴락 한다. 국제 금융시장의 움직임에 따라 선진국과 신흥국 증시를 오가면서 돈의 흐름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돈을 움직이는 요인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미국 달러화 변동, 국제유가 동향, 중국 경제의 전망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언제 어떤 이유로 돈이 움직일지 타이밍을 포착하기는 어렵다. 한발 앞서 민첩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보통 사람의 눈으로는 간파하기 어렵다. 그래서 주식투자자는 늘 애간장을 태울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1%대 초저금리 상황에서 은행에만 돈을 넣어둘 순 없다. 30년에 걸친 노후자금이 필요한 반퇴시대에는 더욱 그렇다. 은행금리 이상의 초과 수익을 추구하려면 증시와 담을 쌓고 지낼 수는 없다는 얘기다. 하지만 어느 주식을 골라야 할지 알 긴 어렵다.

대안은 적립식 펀드다. 주식은 전형적인 ‘고위험·고수익’ 상품이다. 대박이 터질 수도 쪽박을 찰 수도 있다. 높은 수익에는 그만큼 높은 위험이 따른다는 투자 법칙 1호를 어떤 경우에도 잊어선 안 되는 이유다.

특히 요즘처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을 때는 적립식 펀드로 꾸준히 투자하는 게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적립식 펀드는 최소 30개 종목에 매달 분산투자하는 것이므로 변동성을 완화한다. 펀드도 한꺼번에 목돈을 넣어두면 증시가 급등해 대박을 칠 수도 있지만 폭락하는 경우도 있다.

반면 적립식은 1~3년에 걸쳐 매달 분산투자하므로 증시의 변동성을 대폭 흡수한다. 주식형만 있는 게 아니다. 주식은 30~40%만 투입하고 채권을 60~70% 투입하는 채권혼합형은 위험을 더욱 제어한 ‘중위험·중수익’ 상품이다.

김동호 기자 dong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