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 음식, 부럼·오곡밥·귀밝이술 우리의 전통 음식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오늘은 정월대보름 유래

 
오늘은 정월대보름 유래

정월대보름은 옛부터 우리 민족 최대 명절 중 하나로, 법정 공휴일이 아니게 된 오늘날에 와서는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지만 아직 그 흔적은 곳곳에 남아있다. 우리 조상들은 정월대보름이 되면 다양한 음식을 먹으며 한 해 건강과 풍요를 기원했다고 하는데, 어떤 음식들이 있었는지 소개한다.

정월대보름의 음식 중 오늘날에도 가장 잘 전해지고 있는 것은 '부럼' 이다. '부럼깨기'는 날밤이나 호두, 땅콩같은 단단한 견과류를 깨물어 이를 튼튼하게 하고 건강을 기원하는 풍습으로, 평소에 먹어보기 어려운 견과류를 먹으며 영양을 보충하는 의미를 갖기도 했다.

부럼 못지않게 잘 전해지고 있는 것이 오곡밥이다. 정월대보름에 먹는 오곡밥에는 곡식들이 잘 자라길 기원하는 의미가 있어 찹쌀?차조?붉은팥?찰수수?검은콩 등의 곡식 중 5가지를 섞어서 지어 먹었다고 한다. 이렇게 지어진 오곡밥은 가족끼리 먹기 전에 집안 곳곳에 두어 가신들께 바쳐서 건강과 풍요를 기원했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술을 먹지 않는 사람들도 정월대보름 아침에는 술을 한잔 마시곤 했는데 이를 '귀밝이술' 이라고 한다. 귀밝이술은 말 그대로 마시면 귀가 좋아지는 술이라고 해서 붙은 이름인데, “맑은 청주를 한 잔 정월대보름날 아침에 차게 해서 마시면 정신이 나고, 귀가 밝아진다”고 해서 생긴 풍습이다.

이 외에도 아주 다양한 풍습들이 전해지고 있는데, 옛날 정월대보름 축제의 규모는 아주 커서 민속학자들은 정월대보름 하루에 관련된 세시풍속이 전체 세시풍속의 1/4에 달한다고 전한다. 민족의 뜻깊은 명절을 맞아, 바쁜 가운데 잠시 가족들과 명절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오늘은 정월대보름 유래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