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 나쁜 그대, 걱정말아요…10%대 돈 빌려준대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금리단층. 신용도가 좋은 사람은 5% 미만의 저금리 대출을 받지만, 중·저신용자는 20%가 넘는 금리로 돈을 빌려야 할 정도로 금리구조가 단절화된 현실을 지칭하는 말이다.

정부가 10%대 중금리 신용대출을 늘리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27일 이런 내용을 포함한 올해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중금리대출은 현재 카드론·캐피탈 등에서 주로 받을 수 있고, 은행과 저축은행에서는 맞춤 상품을 찾기가 어려웠다. 금융회사들이 연체 등을 우려해 중금리 대출에 선뜻 나서지 않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중금리 신용대출을 받을 수 있는 창구가 인터넷전문은행, 은행·저축은행 등으로 다양해질 전망이다. 금융위는 업계 추정치를 근거로 올 하반기 이후 3년간 인터넷전문은행이 1조4000억원 규모의 중금리 대출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했다. 인터넷전문은행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신용평가 모형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정보통신기업(ICT) 기업이 인터넷전문은행에 더 참여할 수 있도록 은행법을 개정해 2~3개를 추가로 인가해주기로 했다.

또 서울보증보험의 보증을 통해 은행과 저축은행이 각각 5000억원씩 모두 1조원의 중금리 대출 상품을 올 하반기 중 내놓기로 했다. 연체 걱정에 머뭇거리는 금융회사를 독려하기 위해 일정 수준까지의 손실은 보증으로 해결해주겠다는 것이다. 대출대상은 신용등급 4등급 이하의 중·저신용자다. 금리는 보험료를 포함해 10% 내외가 될 전망이다. 대출한도는 은행 2000만원, 저축은행 1000만원이다.

스마트밴드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고 몸관리를 열심히 하는 사람에게는 보험료를 깎아주는 제도도 도입된다. 건강을 생각해 자기 관리를 성실하게 하는 사람은 보험사 입장에서 보험금 지급 확률이 낮을 수밖에 없다. 스마트밴드 등으로 가입자의 운동량을 측정해 보험가입자의 헬스케어 활동이 확인되면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실손의료보험 가입자의 보험금 청구가 한결 편해진다. 지금은 가입자가 보험사에 직접 보험금을 청구해야 한다. 이런 불편 때문에 소액보험금을 청구하지 않는 사례가 많았다. 금융위는 "3400만 명이 가입한 실손의료보험의 보험금 청구방식을 온라인화해 이용자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고 설명했다.

서경호 기자 praxi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