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합의 수용 못하면 24년 전 회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기사 이미지

새누리당은 31일 국회 본회의에 앞서 의원총회를 열고 윤병세 외교장관으로부터 위안부 문제 합의와 관련한 보고를 받았다. 윤 장관이 보고를 마친 뒤 김영우 수석대변인(오른쪽)과 이야기하고 있다. [조문규 기자]

청와대는 31일 한·일 위안부 협상 타결과 관련, “정부의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고 어렵게 풀린 위안부 문제를 다시 원점으로 돌리고자 한다면 이 문제는 24년 전으로 되돌아가게 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대국민 메시지 발표
“사실과 다른 유언비어들 난무
위안부 문제에 또다른 상처로”

 김성수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날 발표한 ‘국민께 드리는 말씀’에서 “국민 여러분과 피해자 할머니들이 대승적 차원에서 이해해 달라. 올해만도 아홉 분이나 피해자 할머니들이 돌아가신 상황에서 정부는 위안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 인정과 공식적인 반성, 사죄를 받아내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했다”고 밝혔다. 청와대가 대국민 메시지를 낸 건 지난해 12월 28일 박근혜 대통령의 메시지 이후 사흘 만이다.

 김 수석은 “지금 사실과 다른 유언비어들이 난무하고 있다. 소녀상 철거를 전제로 돈을 받았다는 등 사실과 전혀 다른 보도와 사회 혼란을 야기시키는 유언비어는 위안부 문제에 또 다른 상처를 남게 하는 것”이라며 “지금 중요한 것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재단을 조속히 설립해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삶의 터전을 일궈드리는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수석은 또 “정부는 총성 없는 전쟁터와 같은 외교 현장에서 우리의 국익을 지키기 위해 벼랑 끝에 선 심정으로 임해왔다”면서 “그렇게 정부가 최선을 다한 결과에 대해 무효와 수용 불가만 주장한다면, 앞으로 어떤 정부도 이런 까다로운 문제에는 손을 놓게 될 것이며, 민간단체나 일부 반대하시는 분들이 주장하는 대로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협상이 타결됐지만 유언비어가 확산되고 불손한 의도를 가지고 이를 이용하는 세력이 있어 이 같은 메시지를 내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신용호 기자 novae@joongang.co.kr
사진=조문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