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의당·천정배와 통합전대 땐 대표 사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기사 이미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패널들의 질문을 듣고 있다. 문 대표는 안철수 의원의 조기전당대회 개최 요구에 대해 “결단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히고, 안 의원의 탈당 가능성에 대해선 “탈당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조문규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분당 위기 상황을 “아이를 놓고 서로 팔을 잡아당기는 두 어머니”에 비유했다. “솔로몬 왕의 판결 같은 지혜가 필요한 시기”라면서다. 8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토론회에서 문 대표는 격한 어조로 당내 분란에 대해 답답한 마음을 드러냈다. 하지만 선택은 머뭇거리지 않았다.

관훈토론회서 작심 발언

당 내분, 솔로몬 앞 어머니 상황
안철수와 승패 내는 게 방법인가

문·안·박 연대, 자존심 상하지만
실제론 안철수와 공동대표 체제

당 해치는 행위 절대 용납 안 해
반기문, 당연히 우리와 함께 해야

 안철수 의원의 혁신전당대회 요구는 “많은 후유증을 남길 것”이라며 단호히 잘랐다. 이 경우 예상되는 비주류의 탈당 움직임도 “저에 대한 압박용”이라고 일축했다. 다음은 문 대표의 주요 발언.

 ◆안철수 혁신전대, 왜 못 받나=“저와 안철수 전 대표 간에 승패를 가리는 것이 단합의 방법이겠나. 언제 총선을 준비하며 언제 혁신하겠나. 저와 안 전 대표가 서로 등을 돌리고 경쟁하고 ‘너 아니면 나, 둘 중 하나만 살아남는다’는 식으로 한다면 우리 당을 지지하는 국민과 당원들이 정말 용서하지 않을 거다. 제가 가지고 있는 대표 권한으로, 어떤 상처를 받더라도 끝까지 뚝심 있게 걸어나가겠다.”

 ◆분당 기로에선 문재인의 강공=“안철수 전 대표는 우리 당을 만든 공동 창업주다. ‘대표 물러가라’는 그런 (전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탈당할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탈당은 국민이 용인할 수 있는 명분이 있어야 한다. 공천에 대한 불안 때문에, 지금 혁신제도에서 하위 20%가 배제된다는 그런 걱정 때문에 (비주류 의원들이) 탈당을 선택한다면 국민들이 용납하지 않을 거다. 지금 탈당, 분당 이런 말들은 일종의 기세다.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배수진을 치는 것이지 결코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이 아니다.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고 진심도 아닐 것이다. 이런 모습을 계속 보여드리면 국민들이 정말 넌더리를 낸다. (안 의원에게 지금) ‘나갈 테면 나가라’고 하는 게 아니라 ‘나가서는 안 된다’고 호소하는 거다.”

 ◆비주류엔 더 강경=“혁신을 무력화하기 위해 당을 흔들고 당보다 자기 자신을 더 생각해 당을 해치는 행위를 용납할 수 없다. 지금까지 화합을 위해 당을 해치는 행위가 있어도 인내하며 참아 넘겨왔다. 하지만 이제는 그럴 때가 아니다. 기강을 분명히 세워 나가야 할 때다. 여기에 친노·비노, 주류·비주류, 대표와의 친소 관계 등은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이다.”

 ◆안철수에겐 다시 ‘공동대표’ 메시지=“문·안·박(문재인·안철수·박원순) 연대는 3인이 함께 공동대표가 되자는 것이었다. 박 시장은 (참여에) 한계가 있어 실제로는 저와 안 의원의 공동대표다. 저로선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다. 이런 제안, 저런 제안 끝에 제가 공동대표 체제까지 제안했는데 또 안 되는 제안 가지고 논란을 하니 그야말로 당의 꼴이 말이 아니다. 지금 함께하는 일 말고는 길이 없다. ‘소통이 안 된다, 비주류를 겨냥하는 것 아니냐’, 그렇게 불평하시지 말고 함께 공동대표 하고, 총선준비기구 함께 만들고, 함께 공동선대위 구성해서 총선 관리하면 그런 걱정이 없어지는 것 아닌가. 이래도 안 돼, 저래도 안 돼, 그러면 어떻게 하겠나. 꼭 제가 제안했던 형태가 아니라도 좋으니 어쨌든 손잡자는 제안을 다시 한번 드린다.”

 ◆내년 총선 ‘깜짝 놀랄 후보’ 영입=“적어도 내년 총선에서 새누리당의 과반 의석은 반드시 저지해야겠다. 얼마 전에 (친박계에서) 이원집정부제 개헌론까지 나왔는데 우리가 충분한 견제 세력을 마련하지 못하면 정부 여당이 어떤 짓을 할지 모른다. 우리 당과 정의당, 천정배 의원과 함께하는 분들이 합치면 선거에서 새누리당과 1 대 1 구도를 만들 수 있다. 그런 통합전당대회가 될 수 있다면 대표직을 내려놓을 수 있다. 통합이 될 수 있다면 제가 가진 모든 것을 다 내려놓고 밀알이 될 수 있다. (그때까지) 당의 변화는 사람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차근차근 ‘이런 분들이 우리와 함께한다’는 것을 보여드릴 생각이다. 깜짝 놀랄 만한 인물을 보여드리겠다. 총선에서 승리한다면 그 힘으로 2017년 정권 교체의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총선에서 실패한다면 그것으로 제 정치생명이 끝날 거다. 제 정치 역할은 거기까지라는 걸 인정해야 하지 않을까.”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도 러브콜=“반 총장께서 정치를 만약에 하시면 주인공 역할이든 돕는 역할이든 당연히 우리 당과 함께해야 한다. 우리 당과 함께하실 거라고 생각한다. 반 총장은 우리(노무현 정부) 출신이다. 우리가 만들어낸 유엔 사무총장이다. ‘정치적으로 얘기하는 게 사무총장의 직무 수행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본인의 당부에 따라 아무런 얘기를 하지 않고 있지만, 언젠가 사무총장 직무를 끝내고 돌아오신다면 저희가 함께하려는 노력을 하겠다.”

 ◆노동개혁 5법은 언제=“5개 법안 중 3개(산재보험법·근로기준법·고용보험법)는 분리 처리 협의가 가능할 거라고 생각한다. 개악의 요소가 제외되면 충분히 입법이 가능하다. 기간제법(35세 이상 근로자를 대상으로 최대 4년까지 기간제 근무를 허용)과 파견법(파견 업종 확대가 골자)은 ‘비정규직 양산법’이다. 결단코 받아들일 수 없다. 이런 법을 만든다면 저 자신을 용서할 수 없을 것이다.”

글=강태화·김경희 기자 thkang@joongang.co.kr
사진=조문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