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계획 전면 재조정|연내 2000년대 겨냥 4핵 13부도심 개발 맞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서울의 도시계획이 다시 짜여진다.
염보현서울시장은 22일 『올해안에 도시계획 지역·지구·시설을 전면 재조정,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의 도시계획이 전면 재개편 되는것은 일본사람들에 의해 1936년 경성시가지계획이 수립된 이래 49년만에 처음이다.
서울시가 이번에 도시계획을 재정비하기로 한것은 ▲그동안의 여건변화로 현재의 지역· 지구·시설지정이 현상과 달라져 불합리한 도시계획으로 끓임없이 민원이 발생하고 ▲개포(2백50만평)·고덕(1백10만평)·목동(1백50만평)·마들평야(2백80만평)등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신시가지의 도시계획을 다시 짜야하며 ▲2천년대 도시계획에서 제시된 4핵13부심의 개발에 맞게 도시계획을 수정해야 하는등 전반적인 손질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대상>
재정비 대상은 주거·상업·준공업·녹지등 4개 용도지역과 미관·풍치·아파트·업무·공지(공지)등 12개 종류의 지구, 도로·광장·학교·공원·시장등 46개 종류의 시설 전부이며 다만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은 제외된다.

<정비내용>
서울시는 이번 재정비를 통해 수도권 정비법과 2천년대 도시기본계획·생활권계획 등을 구체화시키고 개발유보지에 대한 토지이용계획을 세운다. 현재 진행중인 한강종합개발계획과 목동사업·올림픽사업·상계-중계동일대의 신시가지 조성등 서울의 대단위 개발사업 도시계획도 새로 만든다.
52년에 그어져 아직까지 뚫리지 않은 충신동∼보문동간 12m도로(길이1천4백m)와 같이 계획선만 그어진 채 20∼30년씩 묵혀 주민들의 장기·집단민원이 되고있는 도시계획을 재검토하고 녹지지역도 도시기능의 증진과 주택난해소를 위해 필요할경우 상업및 주거지역으로 용도가 바뀐다.
지난해 11월 확정한 4대문안·영등포·영동·잠실의 4핵과 청량리·신촌·천호등 13개부심에 대한 도시계획도 다시짠다.
와룡동 1번지 일대 1백45필지 1만6천평방m는 41년에 풍치지구로 지정됐으나 실제는 주택가가 들어서 이번기회에 풍치지구해제를 검토하게 된다.

<과정>
서울시는 이를 위해 1단계로 4개도시계획용도 지역과 12개지구 도시계획시설 중 교통·통신·공원·녹지시설에 대해 오는 6월까지 용역을 맡겨 재정비하고 나머지 시설과 재개발·구획정리사업지구등은 2단계로 연말까지 도시계획정비구체안을 마련한뒤 시민의 의견과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내년에 확정할 방침이다.

<시민에 미치는 영향>
이번 재정비를 통해 실질적으로 상가가 꽉 들어찬 주거지역은 심사를 통해 상업지역으로 용도가 조정된다. 집이 들어선 녹지지역이나 풍치지구도 해제돼 주거지역으로 바뀌고 20∼30년씩 길이 나지 않은 도로계획선도 해제할 예정. 따라서 이러한 경우 땅값에 큰 변화가 있을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