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경북도청 공무원들 "임대아파트 전세금 낮출 때까지 입주 거부"

중앙일보

입력

 
대구에 위치한 경북도청과 경북도교육청은 내년 2월 경북 안동의 신청사로 이사를 간다. 도청 직원 1200여 명과 도교육청 직원 400여 명도 근무지를 옮긴다. 공무원연금공단은 이들 연고가 없는 공무원을 위해 임대 아파트를 지어 전세로 내준다.

그런데 경북도청과 도교육청 공무원들이 집단으로 신청사 이전지 임대 아파트 입주를 거부하고 나섰다. 전세금이 터무니없이 비싸다는 이유에서다. 경북도청공무원노조와 경북교육청공무원노조는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경북도청 신도시 공무원 임대 아파트 전세금이 낮춰질 때까지 입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노조에 따르면 공무원연금공단은 다음달 20일 644세대 규모의 도청 신도시 임대 아파트를 완공하고 입주를 기다린다. 59㎡(24평) 기준 전세금은 1억1800만원. 같은 크기로 세종시의 공무원 임대 아파트는 8500여만원이라고 노조 측은 주장했다.

노조의 한 간부는 "임대 아파트 옆에 규모가 큰 현대 아이파크를 짓고 있는데, 이 아파트 전세금이 공무원 임대 아파트와 비슷한 수준"이라며 "8000만원대로 전세금이 낮춰질 때까지 입주를 거부하겠다"고 말했다.

노조 측의 입주 거부는 도청 이전지 근무를 거부하는 형태가 아니라 원룸 등을 별도로 구해 머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공무원을 위해 지은 아파트가 텅 비는 상황에 놓인 셈이다.

도영호 경북도청 공무원노조 위원장은 "전세금이 낮춰질 때까지 전국의 모든 공무원 임대 아파트에 대한 운영수익률 정보공개를 청구하고 연금공단에 대한 기관 감사청구 등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장병권 공무원연금공단 임대기획부장은 "노조 측의 요구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 내부적으로 입장을 정리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대구=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