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공산당 혁명노선 포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일본 공산당이 42년 동안 유지해온 '혁명노선'을 포기하고 현실주의 노선으로 대변신했다.

공산당은 21일 중앙위원회 총회를 열고 '민주주의 혁명'의 개념을 수정하고 천황(天皇)제와 자위대의 존재를 인정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당 강령 전면 개정안을 확정했다.

당은 1961년 공산당의 기본 노선을 나타내는 강령을 채택하면서 '미 제국주의와 일본 독점자본에 반대하는 민주주의 혁명을 달성한다'고 표기했던 것을 이번 개정안에서 '민주주의 혁명은 자본주의의 틀 안에서 가능한 민주적 개혁'이라고 수정했다.

또 '군주제를 폐지한다'는 부분을 '천황제는 헌법상의 제도이며 이의 존폐는 국민의 총의에 의해 해결될 것'으로 개정해 사실상 천황제를 용인했다. '자위대 해산을 요구한다'는 부분은 '국민적 합의를 통해 헌법 제9조(자위대 해산을 위한 조건)의 완전 실시를 향해 전진한다'고 개정했다. 개정안은 오는 11월의 당 대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될 예정이다.

공산당의 이 같은 대변신은 한마디로 기존 공산당의 이미지로는 정당으로서 살아남기 힘들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98년 참의원 선거 때 역대 최고인 8백20만표를 얻었던 공산당은 2001년 선거에서는 4백30만표로 인기가 급락했다. 당원수도 90년 50만명에서 40만명으로 줄었다.

도쿄=김현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