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야마 “한·일 외교 당국, 위안부 협상 나서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기사 이미지

이홍구 전 국무총리(왼쪽)와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일본 총리는 29일 열린 세계평화회의에서 “한·중·일 정상회담이 한반도 통일을 위한 국제 체제 구축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김상선 기자]

한·일 정상회담을 나흘 앞둔 29일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일본 총리는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일 외교 당국 간 협상을 정식으로 고려할 때”라며 “일본 정부가 더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통일부 등 주최 세계평화회의
6자회담서 동북아 군축 논의 제안
이홍구 “미·중 평화 없이 통일 불가”

 통일부·통일준비위원회, 광복 7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세계평화회의에서다.

 회의의 첫 세션인 ‘변화하는 세계와 평화’에서 무라야마 전 총리는 “아베 내각이 평화헌법을 개정하는 ‘적극적 평화주의’는 결국 전쟁 참여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으로, 이는 일본 국민이 절대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자칭궈(賈慶國) 중국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장 겸 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상무위원은 “아베 내각의 방향성이 우려되기는 하지만 상황을 과장할 필요는 없다”며 “(한·중은) 아베 내각이 현재 처한 상황의 한계점을 잘 파악하고 기민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한반도 문제에 대해 “6자회담이 재개돼 북핵뿐 아니라 동북아 지역의 군축 문제도 거론되길 바란다”며 “(1일로 예정된) 한·일·중 3국 정상회의가 북한을 정상적 이웃 관계의 틀 안으로 끌어들이는 성과를 내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홍구 전 총리는 라운드테이블 토론에서 “한반도 통일은 아시아, 나아가 세계 평화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지금까지 남북 간 여러 합의와 선언이 있었지만 이를 보장해주는 국제정치 체제가 없었기 때문에 실현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 전 총리는 세계 평화의 두 축인 미국·중국에 대해 “미국은 중국이 이미 초강대국의 반열에 올랐다는 것을 인정하고 수용하며, 중국 지도자는 미국도 태평양을 마주한 넓은 의미의 아시아 국가라는 것을 수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이 한반도 문제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성환 전 외교부 장관은 북한이 최근 미국에 평화협정 체결을 제의한 것과 관련, “미국이 아닌 한국과 논의해야 한다”며 “6자회담은 앞으로 남북이 먼저 조율하고 나머지 국가가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채진 미 클레어몬트 메케나대 교수는 “6자회담이 아닌 남·북·미·중의 4자회담으로 물꼬를 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는 안보·경제·인권 등 분야별 토론을 통해 국제정세가 한반도 통일에 미치는 영향을 두루 논의했다. 킴 캠벨 전 캐나다 총리, 토머스 번 코리아소사이어티 회장 등 국내외 원로와 석학들이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이날 토론을 바탕으로 ‘2015 세계평화를 위한 서울 구상’을 내놓았다.

글=전수진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사진=김상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