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불씨 '박지원의 150억'] 한나라 총공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박지원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받은 현대 비자금이 민주당의 총선 자금으로 유입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정치권에 파문이 일고 있다.

한나라당은 기다렸다는 듯 총공세에 나섰다. 박희태 대표는 19일 "1백50억원은 현대 돈이 아니라 공적자금에서 나온 국민의 혈세"라며 "혈세로 사복을 채우고 정치자금으로 쓴 중대한 문제를 수사 문턱에 이르렀을 때 들어가지 말라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특검의 수사 기간 연장을 주장했다.

박종희 대변인도 "전대미문의 국기 문란 범죄일 뿐더러 추악한 부정부패 범죄일 가능성이 커졌다"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한 직접 조사가 불가피할 듯싶다"고 압박했다. 자민련도 철저 수사와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힘을 보탰다.

민주당은 "특검이 수사 기간 연장을 노려 개인 비리를 밝히는 방향으로 전환한다면 정치 특검이란 오명을 면치 못할 것"이란 성명을 냈지만 이렇다할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동교동계는 곤혹스러운 표정이다. 비자금이 유입됐다는 2000년 총선 당시 동교동계가 조직과 자금을 장악, 선거를 진두지휘했기 때문이다.

당시 김옥두 의원이 선대본부장을 맡았고, 권노갑(선대위 부위원장)전 고문, 최재승(총무).윤철상(조직)의원과 정균환(외부 인사 영입과 공천)총무 등이 전면에서 움직였다.

당사자들은 "사실무근이며 일고의 가치도 없다"(김옥두 의원), "미확인된 비자금설을 제기해 수사 기간 연장의 지렛대로 삼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정균환 총무)이라며 부인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특검의 부작용과 호남 민심 악화 등으로 어려워진 국면을 돌파하기 위해 비자금 카드를 꺼내든 것"이라거나 "가라앉은 신당 논의에 불씨를 살리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중도파의 김근태 의원은 라디오 방송에서 "1백50억원 수수설은 철저히 규명해야 하지만 특검 잔여 기간과 10일간의 제한적인 연장으로 충분하다"며 '제한적 특검 연장'을 주장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