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지역 세분화안' 재조정키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일반주거지역을 1·2·3종으로 세분화해 과밀개발을 억제키로 한 대구시의 도시관리계획안이 다소 완화될 전망이다.

16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6일까지 세분화 계획안에 대한 시민의견을 들은 결과 재조정을 바라는 여론이 높아 18일께 도시계획위원회 소위를 열어 재검토키로 했다.

대구시는 지난 주말 열린 시의회와의 간담회에서 “도시계획위 소위를 열어 시민들의 이의신청을 심의한 뒤 새로운 구획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5층 이상 건물 신축이 금지되는 1종 일반주거지역의 비율이 부산은 10%, 울산 15%, 광주 26% 등이나 대구는 47%에 달해 시민들의 불만이 큰 게 사실”이라며 “전체 일반주거지역에서 1종이 차지하는 비율을 당초 계획안보다 줄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시의회 건설환경위 소속 의원들도 종별 주거지역의 세분화 비율을 기존의 1종 47%, 2·3종 53%에서 1종 20%, 2·3종 80% 수준으로 수정할 것을 시에 요구했다.

시의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계획안에 대해서는 14일의 공람기간동안 모두 3백70건, 1천3백여명의 시민들이 이의를 신청했다.

이의신청 내용별로는 1종으로 구획된 재건축 예정지를 층수 제한이 없는 3종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한 곳이 1백21건(3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존의 저층 아파트단지를 2·3종 지역으로 지정해 달라는 요구도 43건(12%)에 달했다.

시는 오는 18일께 학계 전문가 7명과 시의원 2명으로 구성되는 도시계획소위를 열어 주민 의견의 반영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정기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