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급성감염병 인한 사망자 92명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메르스로 인해 급성감염병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지난해 급성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92명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질병관리본부(이하 질본)으로부터 제출받은 2015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사망 92건 중 발생빈도는 비브리오패혈증(40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16건), 쯔쯔가무시증(13건), 폐렴구균(6건) 순이었다. 이 중 비브리오패혈증(65.6%),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29.1%), 폐렴구균(16.7%)은 치사율이 높았다. 2000년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비브리오패혈증은 지난 해 61명이 신고돼 전년(56명) 대비 8.9% 증가했다. 신고 된 61명 중 40명이 사망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2011년 원인 바이러스가 중국에서 처음 확인됐다.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 5월 첫 사례가 확인된 이후 2013년 36명, 2014년 55명이 신고됐다. 이중 17명, 16명이 각각 사망했다. SFTS 치명률이 최대 30%에 이른다는 중국보고서에 대해 그간 정부는 6% 수준에 불과하다고했지만 지난 2년간 36%(33/9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정림 의원은 “사망자수가 많고 치명률이 높은 비브리오패혈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대해서는 보다 특별한 관리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SFTS의 경우 치료제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들의 불안감을 불식시키기 위해 SFTS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와 조기진단, 대증적 치료를 위한 지원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인기기사]

·[9월7일] 바이오주 소폭 하락으로 장 마감 [2015/09/07] 
·“교황님 인천성모병원 문제 좀 해결해주세요” [2015/09/07] 
·체력은 ‘쑥’ 혈압은 ‘뚝’ 텃밭 가꾸는 게 명약 [2015/09/07] 
·“상업용 공여제대혈이 기증제대혈 활성화 방해” [2015/09/08] 
·매출 폭풍성장 의약품은? 풀케어, 186% 껑충 [2015/09/07]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