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회담 10시간 탐색전 끝…오후3시 2차 본선 재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탐색전은 끝났다. 10시간의 장기전으로 끝난 1차 남북 고위급 접촉 후, 본선에 해당하는 2차 회담이 같은날 오후3시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재개된다.

2차 접촉에도 대표선수들은 바뀌지 않는다. 남측에선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장관이, 북측에서는 군부 서열1위인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대남 담당 당 비서 겸 통일전선부장이 나선다. 고위급 대표단은 22일 오후6시20분경 악수로 회담을 시작한 뒤, 23일 오전4시15분 회담 종료시까지 의견차를 해소하지 못했다. 그러나 회담은 결렬로 이어지지 않고 23일 2차 접촉을 갖기로 양측이 합의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정부 당국자들은 전한다.

청와대 민경욱 대변인은 23일 새벽 긴급브리핑을 갖고 “오늘 오후 3시부터 다시 접촉을 재개하기로 했다”면서 “상호 입장의 차이에 대해 계속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해 남북간 입장차가 있었음을 확인했다. 협상 의제와 관련, 민 대변인은 “최근 조성된 사태의 해결 방안과 앞으로의 남북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면서 최근 일촉즉발의 위기상황 해법은 물론 남북관계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의견교환이 있었음을 강조했다. 구체적 협상 내용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양측은 협상 과정에서 서울과 평양으로부터 각각 훈령을 받으며 수차례 정회를 가졌다. 때로는 김 실장과 황 총정치국장간 수석대표 1:1 접촉도 가졌다고 정부 관계자는 전했다. 10시간에 걸친 회담 동안 제대로 된 식사를 못 하고 야식으로 허기를 달래기도 했다고 한다.

북측은 지난 4일 경기도 파주 비무장지대(DMZ)에서 발생한 목함지뢰 도발과 지난 20일 서부전선 일대에서의 포격 도발에 대해 “남측의 조작극”이라며 소행을 전면 부인해왔다. 이번 접촉에서도 북측은 같은 입장을 되풀이하며 최근 고조된 남북 긴장의 원인은 남측의 대북 심리전 방송에 있다며 즉각 중단과 확성기 철거를 주장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정부는 북측의 시인과 사과, 책임자 처벌 등이 없는 한 대북 심리전 방송은 중단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며 맞섰을 것으로 예측된다. 북측은 천안함 폭침 당시 국제 민ㆍ관 합동 조사단이 “북한의 소행”이라고 결론내린데 대해 “남북 공동조사를 하자”고 대응한 바 있다. 이번에도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복수의 대북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신용호ㆍ전수진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