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노사 문제 원칙대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현대.기아차가 올해 사규(社規)와 경영 방침에 따라 노사 문제를 풀기로 했다. 사규대로 징계를 하고 '무노동 무임금' 원칙 등을 고수할 방침이다.

기아차는 22일 광주공장 채용비리와 관련해 첫 징계위원회(위원장 고재구 공장장)를 열고 회사가 정한 취업규칙대로 징계하기로 했다. 이번 징계위원회는 채용비리로 구속된 18명과 금품제공 입사자 120명의 징계수위를 논의한다.

기아차 관계자는 "취업규칙에 명시된 대로 검찰에 구속된 노조 관계자 및 회사 직원은 모두 해고하고 금품을 제공한 입사자도 중징계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올 노사 협상은 원칙대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 측은 채용비리 관련자를 중징계할 경우 당장 스포티지 생산라인의 일손이 부족해지고 노사화합 분위기를 해칠지 모른다는 점을 고민했지만 사규를 그대로 적용키로 내부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기아차 노조 측은 "구속자는 형이 확정된 뒤 처리하고 단순 금품제공자는 사실 조사 후 논의하자"는 입장을 회사 측에 전달했다. 기아차는 지난해 노사 간 단체협상에서 징계위원회를 열기 전에 노사 동수(同數)로 구성된 사실 조사 위원회를 거치도록 합의했다.

현대차도 올해 임.단협에서 노조 측이 비정규직의 정규화 등을 요구하면 도급제 확대라는 경영 방침을 내세워 타협을 하지 않기로 했다. 또 근무시간 단축을 요구하면서 임금은 그대로 보전해 달라고 노조가 요구할 경우 '무노동 무임금'의 원칙을 적용할 방침이다. 현대차는 지난달 비정규직 노조원들이 정규직화를 내세우면서 울산 공장에서 출근을 방해하고 생산 라인을 세우려 하자 즉각 경찰에 업무방해죄로 고발했고 비정규직 노조위원장은 경찰에 연행됐다.

현대차 노조는 최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추진 이외에 근로조건 개선(근무시간 줄이기)을 주장하고 있다. 한편 현대차는 최근 노무담당 임원을 교체했다. 노무관리담당(본부장급)에 국내영업본부의 윤여철 전무를 부사장으로 승진, 발령했다. 윤 부사장은 20여 년간 국내 영업을 담당하면서 원칙대로 일을 처리한다는 평을 받고 있다.

김태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