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입가경' 산부인과의사회 집안싸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산부인과의사회의 집안싸움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갈등의 두 축은 산부인과의사회 현 집행부를 중심으로 한 ‘정상화대책위원회’와 서울·경기·강원 등 3개 지역 의사회가 주축이 된 ‘비상대책위원회’다.

내홍이 외부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지난달 초 비대위 측이 박노준 현 산부인과의사회장을 배임·횡령 혐의로 검찰에 고소하면서부터다.

이들은 산부인과의사회 예산 일부와 산부인과 병의원들이 단체로 가입한 배상보험업체로부터 받은 가입 수수료 일부를 빼돌려 3억원을 비자금으로 조성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집행부 측은 산부인과의사회가 아직 사단법인이 아니기 때문에 회계장부에 모든 내용을 담지 못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여기에 근거 없는 비방글로 인해 명예가 실추된다며 집행부 측이 산부인과의사회 홈페이지를 강제 폐쇄하면서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명목상으로는 ‘근거 없는 비방글을 막고자 함’이 이유였지만 비대위 측이 제기한 각종 의혹의 확대·재생산을 막기 위한 대처였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비대위, ‘집행부 물갈이’ 압박

최근에는 박노준 회장을 비롯한 현 집행부에 대한 직무정지 가처분신청도 했다.

이와 함께 간선제로 치러지는 현행 회장선거방식 대신 직선제를 통해 새로운 집행부를 선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 28일 비대위 측은 독자적으로 마련한 연수강좌에서 “현재 산부인과의사회는 어떤 단체보다도 불투명하다”며 “중립적인 회장선거를 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회장에 대한 가처분신청 결과가 내달 17일에 나오는 대로 모든 회원이 참여하는 회원총회를 추진하고, 이 자리에서 회원들의 뜻을 묻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비대위는 “현재 산부인과의사회는 전 집행부가 다음 회장을 추천하는 관습에 따라 권력을 이어가고 있다”며 “그러나 산부인과의사회의 주인은 회원이다. 회원총회를 열고 회원 중심으로 조직을 이끌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집행부 측은 ‘서울·경기·강원지회의 연수강좌는 산부인과의사회 본회에서 정식으로 인정받지 않은 사적 행사’라는 내용의 공문을 각 지회에 배포하며 맞불을 놓았다.

또 선윤수 서울지회장과 이동욱 경기지회장 등 비대위 측 주요인사를 대한의사협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한 상태다.

[인기기사]

·혁신형 제약 인증 실패기업 살펴보니 [2015/06/29] 
·'어깨깡패' 되려다 병원서 휴가를? [2015/06/29] 
·‘점입가경’ 산부인과의사회 집안싸움 [2015/06/29] 
·자연유산 40세 이후에 가장 많아 [2015/06/29] 
·세계 감염질환 서밋 2015 개최 [2015/06/29] 

김진구 기자 kim.jingu@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