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신경숙, 의식적인 표절 … 문인들의 침묵은 자살 행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소설가 신경숙씨의 표절 의혹을 제기한 소설가 이응준씨가 25일 인터뷰에 응했다. 그는 “표절 시비가 반복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문제 제기 글을 썼다”고 말했다. [오종택 기자]

소설가 이응준(45)씨가 마침내 입을 열었다. 그는 지난 16일 온라인 매체 허핑턴포스트에 ‘우상의 어둠, 문학의 타락’이란 글을 게재하며 소설가 신경숙(52)씨의 일본 소설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 이후 열흘 넘게 한국 문학계는 ‘신경숙 표절 논란’으로 들끓었다. 하지만 정작 그는 말을 아끼며 언론과의 만남을 꺼려 왔다. 신씨가 23일자 경향신문 인터뷰에서 표절에 대해 해명한 이후에는 아예 휴대전화를 꺼놓고 두문불출했다.

 그런 이씨가 25일 본지와의 대면 인터뷰에 응했다. 표절 논란 관련 본격적인 첫 언론 인터뷰다. 그는 거듭해서 “표절 의혹 제기는 한국 문학 발전을 위한 기록을 남기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인터뷰가 마지막”이라고 했다.

 - 신씨의 23일 해명을 어떻게 보나.

 “내가 문제 삼은 신씨의 표절 대목은 통상적인 ‘문학적 사용’의 한계를 크게 벗어난 것이다. 특정 분야의 전문지식을 소설 속 지문(地文)이나 등장인물의 대화에 녹여 넣는 것은 가능하다. ‘소설화(小說化) 작업’이다. 한데 신씨의 작품 ‘전설’은 그 정도가 아니었다. 나는 기고에서 신씨의 행위를 다른 소설가의 소설의 육체를 그대로 자기 소설에 오려 붙인 다음 슬쩍 어설픈 무늬를 그려 넣어 위장했다고 표현했다. 신씨의 행위는 지극히 ‘의식적인 표절’이다. 그런데 신씨의 해명은 ‘기억이 나지 않는 행위에 의한 표절’이라는 거다. 내가 그런 ‘난해한’ 표절 인정을 사실로 받아들인다면 기고에서의 내 주장과 상충되는 말을 인정하는 사람이 되고 만다. 나는 신씨의 해명을 제대로 된 표절 인정으로 볼 수 없다. 하지만 검찰의 개입에는 반대다. 문인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 2000년에도 표절 의혹이 제기됐는데, 신씨는 왜 말썽의 소지를 없애지 않았을까.

 “너무 권력이 강하다 보니 누군가 같은 사안을 또 끄집어내 새로운 방식으로 공격하리라고 상상하지 못했던 것 같다. 나는 글 쓰는 사람으로서 오직 글을 통해 오랜 숙제를 해결하고 싶었다. 그래서 그동안 일절 방송 인터뷰를 사양했다. 비만한 권력은 편한 것만 보고 편한 것만 듣고 편한 대로만 사고한다.”

신경숙

 - 신씨가 그렇게 힘이 센가.

 “표절 문제 제기 글을 문예지에 실어 보려고 했지만 그 가능성이 제로라는 사실 앞에서 새삼 절망했다. 이게 증거다. 만약 고지식하게 진행했더라면 틀림없이 우스꽝스러운 꼴을 당했을 것이다.”

 - 문단의 ‘문학권력’이 문제라는 진단도 나왔다.

 “정치는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받다 보니 문제가 있으면 결국 드러난다. 하지만 한국 문단 안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에 대해 대중은 무관심하다. 성채 같은 그곳에서 쥐도 새도 모르게 황당한 사건들이 벌어진다. 이 왕국의 가장 무서운 점은 비판자의 늑대 유전자를 꼬리 치는 애완견의 유전자로 바꿔 버린다는 점이다. 문제가 있다면 하나님에게라도 이의를 제기해야 하는 문인들을 ‘문단공무원’으로 전락시켜 버린다.”

 - 문학권력 폐해 실감한 사례가 있나.

 “표절로 시작한 마당이니 표절 사례로 답하자면, 그동안 등장한 표절 의혹 제기들을 모두 무마시켜 표절의 악순환을 체계화한 게 바로 문단권력이다.”

 - 언제 신씨 표절 문제를 처음 접했나.

 “2000년도. 충격이었다.”

 - 지금 새삼스럽게 꺼낸 이유는.

 “그런 질문을 내게 하기 전에 ‘한국 문단은 이대로 썩어 가기만 할 것인가, 아니면 아름다운 쪽으로 변해야 할 것인가’라는 내 질문에 누구든 먼저 답해야 한다. 작가의 자존심을 되찾는 것은 문인들 모두의 의무다. 문인들은 평소 정치 비판과 사회적 발언을 많이 한다. 그런데 자신들의 고유 영역이 이토록 썩어 문드러져 가고 있는데도 아무 말도 못하는 것은 모순이 아니라 부끄러운 일이고 자살 행위다. 내 주변에는 지난 10년간 내가 이 문제에 대해 얼마나 고민했는지 생생히 증언해 줄 문인들이 수두룩하다. 더 늦출 수 없었다. 무엇보다 무모해 보이는 이 일을 이제는 벌여도 좋을 만큼 내 산문 문장이 준비가 됐다고 생각했다. 또 더 늙는다면 패기를 잃을 수 있다는 두려움이 앞섰다. 나는 죽는 날 오늘 이 일을 안 한 것을 후회하기보다는 결행하고 아프기로 결정했다. 그뿐이다.”

 - 결국 신씨는 사과했고, 창비는 타격을 받았다.

 “그들에게 피해를 주기 위해 벌인 일이 아니다. 신경숙 개인에게는 관심도, 감정도 없다. 나는 상황이 바뀌기를 바랄 뿐이다. 내 전부를 걸고 노력했다. 이제 내가 벌여 놓은 일들은 내 손을 떠났다. 나는 한 사람의 보잘것없는 문인으로서 한국 문단을 위해 할 일을 한 것이고, 여기서 더 뭘 하려고 한다면 추해질 뿐이라고 생각한다.”

 - 문학작품 표절 기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표절을 판단하는 가장 강력한 기준은 작가의 양심이다. 표절인지 아닌지는 글을 쓴 본인이 가장 잘 안다. 아까도 얘기했지만 소설을 쓸 때 용인되는 자료 사용방식을 따르면 표절 시비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거기다 각주나 미주, 참고목록 등을 활용하면 표절에 관한 한 문제없는 소설 텍스트가 나온다. 나는 그렇게 한다.”

 - 이번에 허핑턴포스트가 위력을 발휘했다.

 “그 매체의 잠재력이 순기능으로 작용해 많은 독자의 기적 같은 참여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독자들의 폭풍 같은 힘이 아니었다면 이번 문제 제기는 과거 의혹 제기 때처럼 묻혔을 거다. 만약 그렇게 됐다고 하더라도 나는 ‘기록’의 숭고함을 단 한 번도 의심치 않았다. 내가 죽은 다음에라도 언젠가는 반드시 내 기고가 빛을 발휘해 문학의 섬세한 질서를 되찾아 주리라는 믿음이 있었다. 이것은 흠집 잡기나 폭로가 아니다. 문학의 기록이다. 신씨와 내가 죽어서 흙이 된 다음에도 한국어가 살아 있는 한 한국 문학은 존재할 것이다. 후세의 문인과 독자들마저 표절 콤플렉스와 그 치욕에 시달리게 할 수는 없는 일 아닌가. 기록으로 남긴다면 언젠가는 그 기록이 진실을 다시 들춰 잘못된 현실을 바로잡아 주리라 굳게 믿었다. 문학이 타락하면 사회가 타락한다. 모든 질문과 대답은 허핑턴포스트 글에 담겨 있다. 다시 읽어 보길 권한다.”

 - 앞으로 계획은.

 “남은 인생, 문단의 공적인 자리로부터 아주 멀리 떠나서 지낼 것이다. 문인들이 모인 곳은 가지 않을 생각이다. 작품을 발표하고 책 출간을 하겠지만, 오로지 아웃사이더 작가로 묵묵히 살아가겠다.”

글=신준봉 기자 inform@joongang.co.kr
사진=오종택 기자

◆이응준=1970년 서울 출생. 한양대 국문과 박사과정 수료. 90년 시로, 94년 소설로 등단. 시집 『나무들이 그 숲을 거부했다』 등. 소설집 『무정한 짐승의 연애』 등. 장편소설 『내 연애의 모든 것』 등. 2008년 각본·감독한 단편영화 ‘Lemon Tree’가 파리국제단편영화제 국제경쟁부문 등에 초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