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억원 들여 국가재난병원 신설” … 김무성·문재인, 초당적 협력 합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여야 지도부는 7일 4+4 회동을 열어 메르스 문제에 대한 ‘초당적 협력’에 합의했다. 왼쪽부터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김무성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이종걸 원내대표. [김경빈 기자]

김무성·문재인 ‘직통라인’이 또 나섰다.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7일 양당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메르스특위 위원장 간 ‘4+4회동’을 열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대책을 논의했다. 지난달 20일 첫 메르스 확진환자가 발생한 지 18일 만이다. 회동 후 두 대표는 여야 간 ‘초당적 협력’에 합의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9개 항의 메르스 관련 합의문을 발표했다.

 정국 현안과 관련한 두 사람의 회동은 3월 17일 청와대 3자회동과 5월 2일 공무원연금개혁안 담판 이후 세 번째다. 하지만 5·18 기념식, 봉축법요식 등 주요 행사에서도 두 사람은 나란히 앉아 즉석에서 현안을 조율해왔다.

 이날 회동은 문 대표가 지난 5일 김 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둘이 만나 문제를 해결하자”고 제안해 이뤄졌다. 김 대표도 회동 제안에 “‘4+4’로 만나자”고 화답했다고 한다. 문 대표 측근은 “문 대표가 비서실도 모르게 김 대표와 자주 통화한다. 경남중 선후배(김 대표가 1년 선배) 사이라 서로 간에 통하는 점이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마침 박원순 서울시장과 정부가 정면충돌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두 사람이 갈등 국면에서 ‘해결사’ 노릇을 하고 나선 듯한 그림이 나왔다. 실제로 9개 항의 합의안 가운데는 ‘초당적 협력’을 포함해 지방자치단체·교육청·민간이 참여하는 종합대책 강구 같은 중재성 내용이 들어갔다. 여야는 후속 대책의 일환으로 내년도 예산에 1200억원을 반영해 ‘국가재난병원’을 신설하기로 했다. 재난 발생 시 지역별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되는 국가재난병원은 2009년 신종플루가 확산됐을 때 필요성이 나왔지만 예산부족 등의 이유로 흐지부지돼왔다.

 이날 회동에서 문 대표는 모두발언에서만 8개 항의 요구안을 제시하며 ‘기선 제압’에 나섰다. 문 대표의 요구안은 대부분 합의문에 반영됐다. 김 대표는 문 대표가 요구안을 읽는 동안 당황한 듯한 표정이었다. 여야 대표가 중재자로 나서면서 국회법개정안 처리 과정에서 중단됐던 당정 협의도 일부 재개됐다. 김 대표는 이날 회동 전 최경환 경제부총리와 통화해 정부대책 발표의 시간과 내용 등을 조율했다.

글=강태화·김경희 기자 thkang@joongang.co.kr
사진=김경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