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 소방시설 관리 빨간불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최근 3년간 의료기관 소방특별조사 결과, 5곳 중 1곳이 불량인 것으로 드러났다.

새정치민주연합 유대운 의원이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전국 지자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소방특별조사를 실시한 결과, 점검대상 4399곳 중 불량이 발견된 의료기관은 916곳(20.8%)이나 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부산이 325곳 중 151곳(46.5%)으로 불량률이 가장 높았고 대전 30.1%, 경남(창원 포함) 28.0%로 그 뒤를 이었다.


이로 인해 불량사항 조치도 잇따랐다. 2014년 소방특별조사에 따른 유형별 불량사항 조치 현황을 살펴보니 행정명령 674건, 기관 통보 23건, 입건 3건, 과태료 46건, 기타 20건 등 총 748건의 조치가 이뤄졌다.

입건된 3건은 스프링클러 미설치에 따른 조치명령 미이행 2건, 소방안전관리자 미선임 1건이었다. 특히 일부 종합병원은 방화문 미설치, 비상구 폐쇄, 피난·방화시설 임의 변경이 적발돼 과태료를 부과 받았다.

이에 대해 유대운 의원은 “의료시설의 경우 재난 상태에서 환자들의 피난이 어렵기 때문에 소화·방화 시설이 제대로 설치·운영돼야 한다”며 “적발에 대해 철저히 사후 점검을 하고 동시에 의료기관 역시 화재 및 재난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평소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기기사]

·닭고기 조리법에 따라 콜레스테롤 함량 차이나 [2015/05/27] 
·국제성모병원 허위청구 폭로 직원, 20억원 요구 공갈범? [2015/05/28] 
·똥배 없애고 이두박근 만드세요 [2015/05/28] 
·의사들, 중재원 강제 자료 제출 요구안에 반발 [2015/05/27] 

김선영 기자 kim.sunyeong@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