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역사학자 187명, "아베,위안부 과거사 왜곡말라" 집단성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전세계 역사학자 187명이 6일(현지시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직시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는 에즈라 보겔 하버드대 교수,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 교수, 피터 두스 스탠퍼드대 교수 등 권위 있는 학자들이 대거 참여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죄를 피한 아베 총리에게 국제적인 압박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일본 내 학자들을 지지하는 공개 서한’이라는 내용의 성명은 “전후 일본에서 이뤄진 민주주의와 자위대의 문민 통제, 원칙 있는 경찰 운영 및 정치적 관용은 일본의 과학 발전 기여와 다른 나라에 대한 원조와 함께 모두 축하해야 할 일”이라며 “그러나 역사 해석에 놓여진 문제는 이 같은 성과를 축하하는 데 장애가 되고 있다”고 시작했다.

성명은 “가장 첨예한 과거사 문제 중의 하나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라고 거론했다. 이에 따라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을 피해를 당한 국가에서 민족주의적인 목적 때문에 악용하는 일은 국제적인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고 피해 여성의 존엄을 더욱 모독하는 일”이라면서도 “그러나 피해자들에게 있었던 일을 부정하거나 무시하는 일 또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명시했다.

성명은 “제국주의 일본군의 기록 중 상당수는 파기됐고 일본군에 여성을 공급하기 위해 지역별로 활동했던 기록은 없었을 수도 있다”며 “그러나 역사학자들은 일본군이 여성들의 이송이나 위안소 관리에 관여했음을 증명하는 수많은 자료들을 발굴했다”고 강조했다.

또 “일부 역사가는 제국주의 일본군이 얼마나 관여했는지, 여성이 ‘위안부’ 노릇을 하도록 강요 받았는지를 놓고 논쟁을 삼는다”며 “그러나 수많은 여성이 자신의 의사에 반해 붙잡힌 채 끔찍한 야만 행위를 겪었다는 증거는 분명하다”고 밝혔다. 이는 일본군 위안부는 강제로 동원된 게 아니라는 일본 우익들과 일본 정부 일각의 주장을 반박한 것이다.

성명은 “일본군 위안부의 숫자가 수만 명이든 수십만 명이든 일본 제국과 일제의 전장을 통해서 착취 행위가 벌어졌다는 사실이 바뀌지는 않는다”고 명시했다.

성명은 이에 따라 “올해는 일본 정부가 말과 행동을 통해 식민 지배와 전시 침략 행위를 다뤄 일본의 지도력을 보일 기회”라며 “지난 4월 미국 의회에서의 합동연설을 통해 아베 총리는 일본이 다른 나라들에 가했던 고통에 직면하는 문제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 모두에서 과감하게 행동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성명을 주도한 알렉시스 더든 코네티컷대 교수는 “아베 총리가 미국을 방문해 국가가 주도한 성 노예의 끔찍한 역사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인다고 밝히는 게 우리가 원하던 것이었지만 불행히도 이런 일은 없었다”고 밝혔다. 더든 교수는 “성명은 일본 정부가 역사를 직시하고 책임을 받아들이라고 하는 직접적인 호소”라고 강조했다.

워싱턴=채병건 특파원 mfemc@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