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조사위 결과발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조사위는 논문에 사용된 줄기세포주의 숫자와 관련,황교수팀이 체세포복제를 통해 만들었다는 환자맞춤형 줄기세포주는 논문에서 11개로 보고했으나 논문이 투고될 시점인 3월15일에는 2개만 존재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결과 논문에 제시된 나머지 9개의 줄기세포 중 4개는 오염사고로 1월9일에 이미 죽었고 2개는 장부상에 줄기세포로 만들어졌다는 기록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조사위는 따라서 2005년 논문에 보고된 11개의 줄기세포주에 대한 각종 실험 데이터들 (면역염색현미경사진, DNA지문분석, 테라토마 형성, 조직적합성분석)은 모두 2개의 세포주를 사용하여 만들어낸 데이터인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위는 이 2개의 세포주(2,3번)가 과연 체세포복제 줄기세포인지는 조사위원회가 22일 의뢰한 DNA분석결과가 나오면 확인될 수 있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또 논문의 DNA지문분석 데이터와 관련, 2005년 논문에서 환자맞춤형 줄기세포가 제대로 만들어 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DNA분석 데이터는 줄기세포와 핵을 제공한 환자체세포의 DNA를 각각 분석한 것이라고 논문에 돼있으나 확인 결과 DNA 지문분석을 의뢰했다.

조사위는 테라토마의 형성에 대해서는 논문에는 7개의 세포주에 대하여 테라토마가 형성된 것으로 보고하고 추후 이것을 다시 3개로 정정하였으나 사실은 2,3번 2개의 세포주에 대해서만 테라토마 형성이 확인된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위는 "2005년 사이언스 논문의 데이터들은 단순한 실수로 의한 오류로 볼 수 없고, 2개의 세포주에서 얻어진 결과를 11개로 불려서 만들어낸 고의적인 조작으로 볼 수밖에 없다"며 "연구데이터의 진실성이 과학을 떠받치는 기반임을 상기할 때, 이와 같은 잘못은 과학의 기반을 훼손 하는 중대한 행위로 판단된다"고 결론지었다.

조사위는 앞으로 조사위원회는 황교수팀이 확립하였다는 추가적인 세포주들이 과연 환자맞춤형 체세포복제 줄기세포인지를 DNA분석을 통해 확인할 예정이다.. 또 2004년 사이언스 논문에 대해 제기된 의혹과 복제개 스너피에 대해 제기된 질문들도 검증할 예정이다. 조사위는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조사를 마무리 짓기로 했다.

디지털뉴스센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