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진실은…] 곤혹스러운 정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16일 이해찬 총리 주재로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연 뒤 "서울대 조사 결과를 지켜보고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또 과학기술부를 황 교수 관련 문제의 창구로 지정했다.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은 "황 교수 연구의 진위는 과학적 조사에 의해 확인돼야 하며 서울대의 신중하고도 조속한 조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처장은 "서울대 조사 결과에 따라 황 교수 연구팀에 대한 지원 여부를 계속할지 판단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그는 "황 교수 조사 결과와 한국 생명공학에 대한 지원은 별개"라며 "관련 분야 연구가 위축되지 않도록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은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 동남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노무현 대통령은 청와대 관저에서 이병완 비서실장에게서 상황을 보고받았다. 그러나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특별한 말씀이나 지시는 없었다"고 밝혔다.

정치권도 사태 추이를 지켜본 뒤 입장을 내놓겠다는 분위기다.

열린우리당 전병헌 대변인은 "황 교수가 검증을 위해 열흘간 기한을 달라고 한 데다 서울대도 추후 결과를 발표하므로 차분히 문제를 해결해 가자"고 말했다.

한나라당 이계진 대변인도 "정치권 등 모두가 인내를 갖고 결과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민주노동당 박용진 대변인은 "황 교수의 발표에 따르면 정부는 이미 논문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중대한 문제를 1년 넘게 감춰온 책임자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정철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