랭군 만행 후 북괴지지 ″미묘한 변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레이건」미 대통령의 중공방문은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한 관계국간의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고 한국과 중공의 스포츠 교류, 북한 김일성의 소련방문 예정등 극동정세가 미묘한 변화를 보이고있는 시점에서 이루어졌다.「레이건」을 맞은 중공의 표정과 미-중공간 협의내용 및 분위기,「레이건」방문이 극동정세에 미칠영향 등을 일본의 시사통신 북경주제「시무라」특파원과의 국제전화를 통해 알아보았다.
「레이건」대통령을 맞은 중공지도부의 표정은 어땠는가?
▲외형상으로는 열렬히 환영하고 있다.
「레이건」대통령이 미-중공사이에 일치점이 많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데 비해 조 수상 은 양국관계가 크게 발전한 것은 사실이나 아직 미해결의 문제가 적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호요방 당 총서기는 일-중공 관계개선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미국이 중공에 대해 아직 이해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 27일의 미-중공 수뇌 회담에서 한반도문제는 어느 정도 깊이 거론됐나?
▲한반도는 국제문제 가운데도 중요한 문제로 논의됐다.
조 수상이 북한의 3자 회담제안을 지지한데 대해「레이건」대통령 어디까지나 남북직접대화를 기본으로 하고 필요하다면 미·중공이 동석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조 수상은 또 중공이 『한반도 긴장완화를 마음으로 바라고 있으며 긴장을 격화시키는 어떠한 행동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조 수상의 이 같은 발언은 3자 회담이나 4자 회담에는 견해의 차이를 보이면서도 긴장완화에 대해서는 미국의 입장을 존중한 것으로 평가 되고 있다.
그런데 호 총서기는『미국의 한반도 정책에는 찬성할 수 없으며 주 한미군의 주둔에도 반대한다. 주 한미군의 존재는 미국의 명예를 손상시킨다』는 강경 발언을 하고 있다. 조·호의 발언에 차이를 느낄 수 있다.
호 총서기의 방언은 5월초로 예정된 북한방문에 대한 배려로 풀이된다.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공 측의 속마음은 어떤 것이라고 보는가?
▲기본적으로 중공이 북한을 지지한다는 것은 틀림없다.
다만 랭군사건이후 중공의 북한에 대한 지지가 흔들리고 있으며 중공의 태도에 미묘한 변화가 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중공으로서는 북한을 소련 측으로 밀어낸다는 것은 생각할 수 없는 일이므로 미·일이 기대하는 것과 같은 급격한 방향전환은 어렵다. 시간이 걸린다고 봐야한다.
-한·중공간 스포츠교류 등에 대한 중공 일반대중의 반응은 어떤가?
▲스포츠교류에 대한 반응을 꼭 찍어서 얘기하기 보다 금년 들어, 그것도 극히 최근부터 한국의 여러 가지 모습이 TV를 통해 중공의 일반 대중에게 비치기 시작했다.
부산에서 거행된 권투시합이나 배가 침수되어 많은 사망자를 낸 사건, 학생들의 데모 등이 2∼3분씩 뉴스로 방영됐다.
이를 보는 사람들은『아, 저것이 남조선. 즉 한국인가』할 정도로 관심을 보였다.
한국의 모습이 TV를 통해 방영된다 는 것은 큰 변화다.
-중공의 북한에 대한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북한이 전쟁을 도발하려할 경우 중공은 이를 억제할 정도의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보는가?
▲중공의 북한에 대한 영향력은「나까소네」일본 수상의 중공 방문 때 호 총서기가 언급 한 것처럼 강력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소련이 베트남이나 동과 자국에 대해 갖고 있는 영향력에 비하면 훨씬 약하다고 봐야한다.
그러나 북한이 전쟁을 일으키려 한다면 이를 제지할 수 있는 힘은 있다고 보는 것이 개인적인 판단이다.
「레이건」대통령의 중공방문이 앞으로 한-중공관계, 혹은 중공-북한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충분히 생각할 수 있으나 당장 행동의 변화로 나타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 시간이 걸릴 것이다.-미국의 중공에 대한 군사 균형 지원문제 등은 어떻게 될 것인가?
▲조 수상과의 27일 회담에 이미 그런 문제가 논의됐으며 내달 중공의 국방부장이 미국을 방문키로 돼있다.
전체적인 흐름으로 보아 미-중공관계는 앞으로 점차 호전 될 것이다. 다만「레이건」대통령의 이번 방문이 선거를 겨냥한 것 인만큼 중공과의 약속이 선거 후 에도 성실히 지켜 지 는 것이 선결 조건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