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금융상품' 도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앞으로 뛰어난 기술이 있는 기업은 자금 조달이 쉬워질 전망이다. 정부가 기술 평가를 위한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력 있는 기업의 자금 조달을 쉽게 하기 위해 다양한 금융상품을 도입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2010년까지 기술이 있는 기업에 1조원의 정책자금도 지원키로 했다.

정부는 5일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 주재로 기술이전사업화정책심의회를 개최하고 기술 평가 시스템의 구축과 기술금융 공급 확대 등을 골자로 한 '제2차 기술이전사업화촉진계획(2006~2010년)'을 확정했다.

이에 따르면 공신력 있는 기술 평가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기술평가기관의 지정 기준을 ▶현재 3인 이상에서 ▶변호사 등 전문직을 포함한 10인 이상으로 대폭 강화한다. 평가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도 개발한다.

민간의 기술 금융이 자리를 잡을 때까지는 정책자금 지원도 확대한다. 2010년까지 기술사업화전문투자조합과 신기술제품 공공구매사업을 통해 기업이 기술을 사업화하는 단계에 1조원을 지원한다. 2009년까지 기술신용보증기금이 기술을 바탕으로 대출 보증을 서주는 비율을 현재 전체 보증의 15.2%에서 60%로 끌어올린다.

다양한 금융상품도 도입한다. 중소기업이 기술을 담보로 발행한 채권을 잘게 쪼개 여러 투자가에게 다시 파는 '기술유동화증권', 정부의 연구.개발(R&D) 투자와 민간의 사업화 투자를 연계해 정부와 민간이 공동 분담으로 투자하는 'R&D 프로젝트 파이낸싱', 기술혁신형 중소·벤처기업이 기술을 사업화하는 초기 단계에 집중 투자하는 '기술사업화투자펀드' 등을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기술신용보증기금도 기술거래와 관련한 네 종류의 보증상품을 새로 내놓기로 했다.

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