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기업가족친화경영중] "직원이 행복하니 고객들 만족하고 회사 이익 늘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가족친화 제도는 회사에 이익이 되기 때문에 도입한 것이다."

새스의 마이크 갤러거(사진)인사담당 디렉터는 직원 가족을 배려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해 우수한 인력을 잡아 두고 그들이 높은 생산성을 내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족친화 경영을 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 것 같다.

"최근 조사한 결과 가족친화 경영으로 직원 개인에게 돌아가는 혜택은 직원 연봉의 43%에 달했다. 하지만 가족친화 경영은 직원에게 투자하는 것이다. 미국 IT업계의 평균 퇴사율이 연 20%에 달하지만 우리의 이직률은 4%대에 그친다."

-직원 만족이 어떻게 회사 이익을 창출하는가.

"소프트웨어를 임대해 주는 게 주사업인데 고객 이탈률이 2% 이하다. 고객 담당 직원이 자주 바뀌지 않으면 같은 직원으로부터 계속 서비스를 받아 고객의 만족도가 높다. 결국 회사 매출이 올라간다."

-가족친화 경영이 보너스.스톡 옵션 등 금전 지급보다 효과적인가.

"IT업계는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지 않으면 회사의 생존이 위협받는다. 가족을 배려하며 일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회사와 막대한 규모의 스톡옵션을 제공하는 회사 중 어디를 택할 것인지는 직원의 선택이다. 하지만 지난해 584명의 직원을 뽑는 데 3만4000명이 몰렸다."

-주로 여직원을 위한 혜택이라고 남자 직원들이 불만스러워하지 않는가.

"직장과 가정 사이의 갈등은 여직원에게 한정된 게 아니다. 맞벌이 부부인 남자의 어려움도 매우 크다. 가족친화 경영은 남녀 모두를 위한 것이다. 사내 탁아소 이용자의 20~30%가 남자 직원이다."

<특별취재팀>

미국.독일.일본 = 이영렬(팀장),

이현상.장정훈.홍주연 기자(이상 산업부), 신인섭 기자(사진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