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당신이 오늘 만나는 사람 속에 부활한 예수 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이주연 목사는 “예수님은 빵과 포도주를 건네며 ‘나의 살과 나의 피’라고 했다. 무슨 뜻이겠나. 우리에게 신비를 주신 거다. 이 우주를 다 채우는 신비를 줄 테니 먹으라고 하신 거다”라고 말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지난달 26일 서울 북악산의 한적한 골짜기로 들어섰다. 흙담집이 하나 나왔다. 거기서 이주연(58·산마루교회 담임) 목사를 만났다. 그는 2001년부터 시작한 ‘산마루 서신’(www.sanletter.net)을 요즘도 26만 명에게 e메일로 날마다 보낸다. 기독교방송을 통해 ‘산마루 묵상’이란 3분 메시지를 1800회 넘게 띄우기도 했다. 요즘은 노숙자 120명과 함께 농사도 짓고, 노숙자 대학도 꾸린다. 그 와중에도 신자들과 북악산 흙담집에서 산상수훈을 묵상하는 영성클래스를 연다.

부활절(4월 5일)을 앞두고 그에게 영성의 눈으로 본 ‘부활’을 물었다.

 - 예수의 부활, 한마디로 뭔가.

 “신비다. 그리스도교에는 3대 신비가 있다. 창조와 성육신(成肉身), 그리고 부활이다. 이 셋은 신비의 마지막 지점에 있다. 나는 거기에 도달하는 게 우주의 끝에 도달하는 거라 본다.”

 - 그걸 과학의 눈으로 보면.

 “신비가 없다면 과학의 내일도 없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나오기 전에는 어땠나. 시간이 상대적이라든가, 공간이 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상대성이론이 나오면서 신비의 영역이 우리의 삶 속으로 걸어 들어왔다. 그래서 과학이 됐다. 그건 아인슈타인에게 영적 감수성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본다.”

 - 부활의 신비, 사람들 눈엔 왜 안 보이나.

 “신대륙 개척 시절, 탐험가들은 지도의 끝을 넘어갔다. 그들이 가지고 있던 상식과 세계관의 끝을 넘어갔다. 거기에 신대륙이 있었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내가 가진 지도를 넘어갈 때 비로소 우리는 신비를 만나게 된다.”

 이 목사는 신비를 모르는 삶을 탄광의 갱도(坑道)에 비유했다. “주위를 보라. 다들 힘들어 한다. 지도 안에서만 사는 삶. 그건 무너진 갱도 안의 삶과 같다. 오늘날 우리는 ‘물질주의’라는 갱도에 갇혀서 살아가고 있다. 다들 각자의 황금을 찾느라 거기가 갱도인 줄도 모르고 산다. 결국 숨이 막히지 않겠나.” 그는 나지막하게 러시아 문학가 도스토옙스키의 말을 읊었다. “우리의 삶과 우주에 신비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나는 그런 이들에게 마음을 다해 진정으로 사랑을 해보라고 말한다. 그러면 신비가 열릴 거라고. 그때 알게 된다. 세상은 온통 신비로 가득하다는 걸 말이다.”

 이 목사는 부활을 굳이 멀리서 찾지 말라고 했다. “나의 일상, 나의 하루에서 창조와 성육신, 그리고 부활을 찾아야 한다. 그게 지금껏 그토록 갈급하며 찾다가 제가 도달한 결론이다.”

 - 목사님의 하루에서 ‘창조’는 어디 있나.

 “천지창조의 첫날. 우리가 그걸 두 눈으로 직접 본다면 어떨 것 같나. 어마어마한 신비에 젖을 거다. 차분히 살펴봐라. 태양도 계속 움직이고, 지구도 계속 움직이고, 우리의 세포도 계속 움직인다. 똑같은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하나님의 천지창조는 지금도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나는 모든 하루의 시작이 천지창조의 첫 아침이라 본다. 오늘 이부자리에서 일어나 창문을 열 때 들어서는 햇볕, 나는 거기서 창조의 신비를 만난다.”

 - 그럼 부활한 예수는 어떻게 만나나.

 “예수께선 ‘지극히 작은 자에게 한 것이 나에게 한 것이다’라고 했다. 우리가 부활한 예수를 만나는 길을 구체적으로 일러주신 거다. 오늘 하루 우리에게 주어진 만남. 그 속에서 부활한 예수를 만나는 게 우리의 몫이다.”

 - 창조·부활의 신비를 알면 갱도 서 나오게 되나.

 “물론이다. 갱도 안에는 신비가 없다. 신비는 늘 갱도 밖에 있으니까.”

글=백성호 기자 vangogh@joongang.co.kr
사진=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이주연 목사=1957년생. 감리교 신학대 졸업. ‘기독교사상’ 주간과 명지대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서울 마포구 신공덕동 산마루교회 담임목사. 저서로 『둥둥 영혼을 깨우는 소리』 『주님처럼』 『산마루 묵상1·2』 등.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