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70년대 현대화랑 뒷방은 화가와 문인들의 사랑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박명자(左), 도형태(右)

“풍곡 성재휴 화백이 ‘현대화랑’이라는 이름을 지어줬고, 일중 김충현 선생이 현판을 써줬다. 당시로서는 ‘현대’라는 이름이 신선하게 느껴졌다.”

 박명자(72) 회장이 1970년 화랑 개관 당시를 돌아봤다. 현대화랑 개관 한 해 전에 태어난 차남 도형태(46) 부사장은 “초등생 때 연중무휴로 일하러 나가는 어머니를 기다리며 화랑 지하 카페에서 햄버그스테이크를 먹었다”고 말했다. “당시 화랑 뒷방은 화가와 문인들의 사랑방이었고, 3층에서는 오광수 전 국립현대미술관장이 계간 ‘화랑’ 발행을 준비하고 있었다”고도 했다.

서울 인사동길 지금의 박영숙요 자리에 1970년 개관한 현대화랑. 갤러리현대의 전신이다.

현대화랑은 풍요의 시기에 새로운 취향을 주도했다. 화랑과 함께 성장한 도 부사장은 뉴욕대에서 미술(studio art)과 미술사를 복수전공했다. 백남준 작업실을 드나들며 현장 감각을 익히기도 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98년 작품을 실은 트럭을 직접 운전해 아트 바젤에 출품한 이래 화랑 경영에 참여한 지 17년째다. 그는 “화랑은 단기간에 성과를 낼 수 있는 사업이 아니다. 미술은 끊임없는 기다림이다. 우리는 삶의 일부를 공유하며 인연을 쌓아갈 뿐이다. 가장 오래된 화랑으로서 한국 미술을 국제적으로 알리고, 신진 및 덜 조명된 작가들을 발굴하는 데 역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권근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