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바다서 사는 문어…문어는 어떻게 빙하에서 생존할 수 있었나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남극바다서 사는 문어

남극바다서 사는 문어…연체동물의 '헤모시아닌'은 온도 낮아도 작동

남극바다서 사는 문어가 누리꾼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남극 바다에서 문어들은 낮은 수온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생리적인 특징이 진화돼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독일 알프레드 베게너 연구소의 마이클 올러만(Michael Oellermann from Alfred-Wegener-Institute, Germany) 연구팀은 남극 문어의 일종인 파렐리돈 카르코티(Pareledone charcoti)와 다른 따뜻한 해역에서 사는 남극바다 문어 2종을 비교 연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문어들은 추운 남극바다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아주 특수한 순환계가 필요하다. 온도가 낮아지면 척추동물에 있는 헤모글로빈은 제대로 작동을 하지 못하고, 혈액의 점도가 높아지면서 혈관을 막는 것으로 보인다.

연체동물은 혈액 내에 혈청소라고 불리는 헤모시아닌(Hemocyanin)을 가지고 있다. 철 대신 구리를 산소 운반에 사용하는 방식인데, 이로 인해 산소와 결합하지 않았을 때는 피가 무색이다가 산소와 결합하면 파란색으로 변하게 된다. 헤모시아닌은 산소 결합능력은 헤모글로빈보다 낮지만, 낮은 온도에서도 잘 작동한다.

특히 남극 바다에서 사는 문어는 다른 지역에서 사는 문어보다 헤모시아닌의 혈중 농도가 적어도 40% 가량 높았다. 그런데 온도를 높여도 헤모시아닌은 잘 작동한다. 연구팀이 실험실에서 수온을 섭씨 10도까지 올렸을 때, 남극 문어는 따뜻한 지역에 사는 문어보다 더 많은 산소를 운반할 수 있는 능력을 발견했다.

남극 바다에서 사는 문어의 생명력은 피를 파랗게 만드는 헤모시아닌 농도가 높은 덕분인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남극 동물처럼 추운 환경에만 특화된 동물이 아니라 생존을 위해 진화된 것으로 보인다.

남극바다서 사는 문어에 대해 누리꾼들은 "남극바다서 사는 문어, 신기하네" "남극바다서 사는 문어, 어떻게 살지?" 남극바다서 사는 문어, 정말 생명력 질기구나" 남극바다서 사는 문어, 별의별 재주가 다 있구나"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중앙일보
‘남극바다서 사는 문어’[사진 세종기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