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수교수의보석상자] 둥글게 깎으니 빛나는 별무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6면

스타 사파이어(左) 스타 루비

유색 광물의 맑고 선명한 색조는 볼 때마다 색다른 감흥을 불러일으킨다. 그처럼 아름다운 색을 만든 자연의 신비함에 경외심이 들곤 한다. 그 아름다운 돌들이 다른 방식으로 우리의 시선을 즐겁게 만들어줄 때가 있다. 캐버션 커트(모나지 않고 둥글게 하는 가공)로 다듬어진 유색 보석들은 별 모양의 광채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성채를 보이는 화려한 변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돌을 성채석(star stone)이라 부른다.

그 중에서 가장 뛰어난 성채석은 아무래도 루비와 사파이어일 것이다. 이 돌들을 우리는 스타 루비, 스타 사파이어라고 부른다. 아마도 가장 잘 알려진 스타 루비와 스타 사파이어는 '드롱스타'와 '인도의 별'이란 이름을 가진 두 가지일 것이다. 드롱스타는 100.32캐럿이며 인도의 별은 563.35캐럿의 보기 드문 자연의 걸작이다. 크기도 크기려니와 이들이 가지고 있는 성채는 다른 돌에 비해 뛰어나다. 이 두 돌은 뉴욕 자연사박물관의 주요 소장품이기도 해 많은 관람객을 사로잡는다. 이들이 유명세를 치른 것은 1963년 잭 머피 일당이 이를 훔쳐갔다가 2만5000달러를 받고 플로리다의 공중전화 부스에서 돌려준 게 계기가 됐다. 할리우드의 상혼은 이를 놓치지 않았으며 이 실화를 배경으로 영화를 만들어 이 보석들을 스타로 만들었다.

성채 효과가 만들어지는 이유는 알고 보면 간단하다. 보석광물이 갖는 결정구조 내에 특정한 포획물이 일정하게 늘어섬으로써 만들어지는 결과다. 따라서 모든 광물에서 기대할 수는 없다. 보석광물은 때로 결정 내에 쓸데없는 광물들과 함께 성장되기도 한다. 바로 이 성채 효과는 쓸데없이 들어간 가늘고 긴 섬유 결정들 때문에 생긴다. 이러한 섬유 포획물들이 아무렇게 들어가거나 또는 평행하게 배열돼 있지 않고 서로 일정한 각도로 들어가 있을 때 성채 효과가 만들어진다. 만약 어떤 결정 안에 서로 60도의 관계로 들어 있는 섬유 포획물이 있다면 이들에 의해 여섯 방향의 성채를 만들게 된다. 스타 루비와 스타 사파이어가 이의 대표적인 예다. 스타 루비와 스타 사파이어를 만드는 결정 내 포획물은 미세한 바늘 모양의 금홍석 결정의 다발이 서로 120도로 세 다발이 배열돼 있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결정이 다른 석류석의 성채는 네 방향의 성채를 만든다. 그러나 포획물들의 배열되는 방향이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니므로 네 방향 및 여섯 방향 이외에도 5, 7 및 12 방향의 성채석 또한 발견된다.

성채석들은 일반적으로 원형이나 타원형의 캐버션 커트를 한다. 타원형의 경우에는 타원의 장축 방향이 성채의 한 선과 평행하게 절단돼 성채의 중심이 돌의 중앙에 위치하게 가공해야 한다. 거기서 보석의 가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문희수 연세대 교수(지구시스템과학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