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해외건설업체 자율정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경영상태가 나쁘거나 해외건설 시공실적이 부진한 해외건설업체들은 앞으로 해외건설수주를 할수 없게 된다.
건설부는 14일 해외건설업체를 강제로 정비하는 대신 해외건설업체의 모임인 해외건설협회에서 자율적으로 부실업체를 정비토록 했다.
이에따라 해외건설협회는 ▲경영상태가 나쁘거나 ▲임금을 체불한 업체등엔 해외건설 입찰에 참여 못하게 하는 10개항의 「해외건설 자율관리규정」을 만들어 건설부의 승인을 받았다.
이규정에 따르면 ▲주거래은행의 경영평가결과 C급이하 업체(2억달러이상공사는 B급) ▲종합평가결과손해가 예상되는 공사 ▲최근 1년간 국산기자재 사용실적이 없는 업체 ▲해외건설계약액의 1만분의 5이상을 기술개발비로 투자치 않은 업체등은 해외공사를 할수 없게 된다.
또 ▲전에 계약한 실적이 없는 발주처에 신규참여하려는 업체 ▲전년도 시공실적의 4배이상의 시공잔액을 가진업체 ▲계획공정의 80%미만인 공사를 30%이상 갖고있는 업체도 새로 입찰에 참여하지 못하게 된다. 해외건설협회는 1억달러(사우디아라비아지역) ∼5천만달러 (기타지역)이하의 공사에 대해서는 수주승인을, 해외건설업체는 6개월에 한번씩 주거래은행의 경영평가를 받는데 현재 54개업체중 A급이 18사, B급이 26사, C급이 7사, D급이 3사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