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취업 길라잡이] 직장인의 자기 계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3면

자기 계발은 가장 쉬운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지금 자신의 위치를 자기 계발의 출발점으로 삼고, 단계적으로 다른 요소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계발의 성공 여부는 결단.계획.실행 등 세 요소에 달려 있다. 너무 큰 목표를 세우면 중간에 멈추거나 좌절감을 맛보기 쉽다. 오히려 목표를 작게 쪼개 실행함으로써 성취감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반복적인 성취감은 달성하기 어려울 것 같은 큰 목표에 대해서도 실천 가능성을 높여준다. 자기 계발에 대한 목표를 정할 때는 기업에서 바라는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업은 연령대와 경력 연수에 따라 직급별로 요구하는 것이 다르다. 사원에게는 기본적인 실무능력과 함께 직장예절, 선배들과의 업무 협조 등이 강조된다. 과장급에게는 업무 노하우와 인적 네트워크, 관리 능력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소를 모두 갖추지 않고 시장으로 눈을 돌리게 되면, 자기 계발을 통해 다른 기업으로 이직하거나 창업할 것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이 경우 퇴출 1순위로 꼽히게 됨은 당연한 노릇이다. 기업이 원하는 요소를 충분히 갖추었다면 시장의 요구사항을 파악해야 한다. 직장 선배나 헤드헌터, 재취업컨설턴트들에게 도움을 청하면 자신의 경력관리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당신이 찾고 있는 광맥은 바로 당신의 발 밑에서 잠자고 있는지도 모른다. 자기 계발을 한다고 담당 업무를 소홀히 해서도 안 된다. 중요한 프로젝트가 눈앞에 있는데 학원에 다니거나 대학원에 입학한다고 하면 이를 좋아할 상사가 거의 없다.

김기태 커리어 대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