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1호기 재가동 여부 결정 또 연기…26일 회의 열고 재심의

중앙일보

입력

 
원자력발전소 월성1호기의 재가동 여부 결정이 또 한번 미뤄졌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2일 10시간이 넘는 ‘마라톤 회의’ 끝에 “월성1호기의 계속운전 허가안을 26일 차기 회의에 재상정해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1982년 운전을 시작한 월성1호기는 지난 2012년 설계수명 30년을 채우고 가동이 중단됐다. 한국수력원자력 측은 앞서 5600여억 원을 투자해 노후설비를 다 교체하고 안전 설비를 보강했다며 계속운전을 신청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2년여에 걸쳐 한수원이 제출한 서류를 심사하고 현장 실사를 한 뒤 ‘계속운전에 적합하다’고 원안위에 보고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에 따라 실시한 스트레스테스트에서도 ‘개선사항이 있지만 대체로 안전하다’는 의견을 냈다. 반면 환경운동단체 회원, 지역주민 등이 참가한 민간전문가검증단은 같은 테스트 뒤 “계속운전시 안전성 보장이 어렵다”고 맞섰다. 32건의 안전 개선 사항도 내놨다.

원안위는 지난달 15일 제 33차 전체회의를 열고 월성1호기 계속운전 안건을 심의했지만 위원들 간에 찬ㆍ반의견이 갈려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한 달 뒤인 12일 2차 회의를 열고 재심의를 했지만 역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원안위원은 상임위원인 이은철 위원장과 김용환 사무처장 외에 7명의 비상임 위원들로 구성돼 있다. 여당과 야당 추천위원 각 2명과 정부 추천 위원 3명이다.

김한별 기자, 세종=박유미 기자 idst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