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국립대·혁신도시 입지 선정…지역 갈등·반목 대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울산이 혁신도시 입지에다 국립대 부지 선정문제까지 뒤엉켜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

경부철도 울산역 역세권인 울주군 삼남면 신화리.교동리 지주 30여명은 1일 시청에서 혁신도시 유치반대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시의 기존 계획대로 20만평 규모의 역세권을 개발하면 혁신도시 보다 20배, 30배 개발 효과가 크다"고 주장했다. 반면 이들 지역을 포함한 언양.삼남.삼동.상북면 주민 30여명은 지난달 24일 시청에서 "시가 타 지역에 혁신도시를 조성하려고 역세권의 가용부지를 20만평으로 의도적으로 축소 평가했다"고 반발했다. 혁신도시 이전대상기관이 위촉한 9명의 위원이 지난 28일 평가서 제출을 거부, 입지선정위원회의 입지선정은 이달 중순으로 늦춰지는 등 난항을 겪고있다.

국립대 부지 선정도 혼란을 겪고 있다. 삼동면.온양읍 주민 100여명은 지난달 31일 시청에서 "우리 지역에 국립대가 와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삼동면 주민 20여명은 "국립대학 가는 곳에 종합장사시설도 함께 가야한다"며 "국립대 유치에 실패할 경우 2003년 확정된 종합장사시설도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시는 종합장사시설 부지선정 때 "대학을 유치하면 장사시설과 연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약속했었다.

온양읍 주민들은 자체 용역결과를 제시하며 "부지 가격이 거의 공짜(75만평.23억원)이고 교통망이 사통팔달인 온양 이외에 국립대 부지가 선정되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주장했다.

국립대 유치를 위해 임야 10만평 기증을 제의한 북구 효문동 주민들은 시가 그린벨트여서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히자 "특정 지역을 낙점하기 위한 편파적 기준"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시가 생긴 이래의 최대 경사(혁신도시.국립대 유치)가 소지역주의 때문에 주민간 갈등.반목의 불쏘시게가 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이기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